2025.04.20 (일)

  • 흐림동두천 10.1℃
  • 흐림강릉 9.5℃
  • 박무서울 10.6℃
  • 흐림대전 15.0℃
  • 구름많음대구 19.5℃
  • 구름많음울산 18.2℃
  • 광주 16.9℃
  • 흐림부산 17.4℃
  • 구름많음고창 13.8℃
  • 흐림제주 18.1℃
  • 맑음강화 7.2℃
  • 흐림보은 15.2℃
  • 구름많음금산 15.3℃
  • 흐림강진군 17.2℃
  • 구름많음경주시 13.9℃
  • 흐림거제 17.2℃
기상청 제공

국회

서삼석,“농산물 수급정책 총체적 실패, 최저가격보장제 도입해야”

3년 여간 채소류 가격안정 긴급조치 매 월마다 발동한 셈
42개월 동안 농산물 수매비축·산지폐기 등 긴급조치만 34번
- 우리나라 채소류 가격변동성 일본보다 5배 높아

[한국방송/이두환기자] 지난 3년 여간 농산물 가격 등락에 따른 수매비축, 산지폐기 등의 긴급조치가 거의 매월 시행되었던 것으로 드러나 농산물 수급정책의 총체적 실패라는 지적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서삼석 의원(영암 무안 신안)11일 상임위 현안보고를 앞두고 농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2016~20193월 농산물 가격등락 및 대응조치 현황 자료에 따르면 42개월 동안 총 34번의 수매비축, 산지폐기, 수입대체 등의 농산물 수급안정 긴급조치가 있었다<첨부1 참조>.

 

농식품부는 선제적인 수급문제 대응을 위해 배추, , 건고추(고춧가루), 마늘(깐마늘), 양파, 겨울대파, 풋고추(청양계), 배 등 8개 품목에 대해 특별관리 매뉴얼을 정해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막대한 농산물 수급안정예산(2018년 기준 8,400억원)을 투입하고도 지난 3년간 이들 채소류 가격이 평년대비 56%까지 폭등하다가 60%까지 폭락하는 일이 수시로 반복되고 있어 수급정책에 대한 근본적 점검과 대안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018년 농산물수급정책에 대한 연구보고서(20188농산물 수급안정대책, 이대로 좋은가?” 김동환 농식품신유통연구원 원장/안양대 교수)따르면 2005년부터 2016년까지 12년간 채소류 변이계수(가격변동의 편차/평균가격)가 한국은 0.25인데 비해 일본은 0.05에 불과하다. 우리나라의 채소류 가격변동성이 일본에 비해 5배가 더 크다는 의미이다.

 

서삼석 의원은, “우리나라 농산물 수급정책의 총체적 실패를 인정하고 근본적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면서 대체작물 재배와 휴경제 도입 등 장기적인 대안과 함께 근본적으로는 농민들의 안정적인 소득보장을 위해 국가가 나서서 최소한 생산비 정도는 보장해주는 농산물최저가격보장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첨부1

농산물 수급조절매뉴얼 심각단계 발령 대응조치 현황

< 심각단계 발령 대응조치 현황 >

발령일자

도매가격

(평년비)

대응조치

(소요예산)

대응조치

결정일자

대응조치

시행시작일자

17.7.3.

양파

1,183/kg

(39%)

32천톤 계약재배 출하확대

17.7.3.

17.7.3.

12천톤 수입비축

(5,857천불)

17.9.11.

17.9.11.

 

 

< 선제적 대응조치 현황 >

도매가격

(평년비)

대응조치

(소요예산)

대응조치

결정일자

대응조치

시행시작일자

양파

(중‧만생종)

701/kg

(8%)

15천톤 수매비축

16.6.7.

16.6.7.

마늘

8,750/kg

(56%)

10천톤 수매비축

(2,982백만원)

16.6.7.

16.6.7.

건고추

5,840/600g

(37%)

3.3천톤 수매비축

(29,040백만원)

16.10.11.

16.12.14.

마늘

7,100/kg

(17%)

2천톤 수매비축

(8,540백만원)

17.4.6.

17.4.19.

양파

1,496/kg

(45%)

2천톤 수매비축

(1,700백만원)

17.4.6.

17.4.19.

배추

2,100/포기

(17%)

8천톤 수매비축

(390백만원)

17.4.7.

17.4.7

569/

(50%)

10천톤 산지폐기

(1,000백만원)

17.10.29.

17.10.29.

배추

1,335/포기

(14%)

12천톤 산지폐기

(1,100백만원)

17.11.8.

17.11.15.

4천톤 수매비축

(4,705백만원)

17.11.8.

17.11.20.

786/

(23%)

3천톤 수매비축

(3,390백만원)

17.11.8.

17.11.20.

928/

(20%)

28천톤 채소가격안정제 산지폐기

(5,133백만원)

17.12.6.

17.12.6

양파

(조생종)

661/kg

(34%)

19천톤 사전 면적조절

(6,200백만원)

18.3.21.

18.3.21.

양파

(중‧만생종)

917/kg

(46%)

17천톤 사전 면적조절

(5,883백만원)

18.4.30.

18.5.8.

10천톤 수매비축

(6,138백만원)

18.4.30.

18.6.22.

마늘

6,833/kg

(11%)

4천톤 사전 면적조절

(9,760백만원)

18.4.30.

18.5.8.

1천톤 수매비축

(2,755백만원)

18.4.30.

18.8.8.

배추

941/포기

(60%)

45천톤 수매비축

(2,197백만원)

18.5.18.

18.6.5.

배추

978/포기

(36%)

10천톤 출하정지

(2,121백만원)

18.12.27.

18.12.27.

744/

(8%)

7천톤 산지폐기

(1,354백만원)

18.12.27.

18.12.27.

배추

1,044/포기

(45%)

46천톤 산지폐기

(5,000백만원)

19.1.28.

19.1.28.

740/

(31%)

20천톤 산지폐기

(4,088백만원)

19.1.28.

19.1.28.

양파

(중‧만생종)

1,173/kg

(24%)

7천톤 사전 면적조절

(1,868백만원)

19.04.25.

19.04.25.

443/kg

(30%)

12천톤 출하정지

(4,584백만원)

19.05.17.

19.05.17.

6천톤 수매비축

(3,084백만원)

19.05.17.

19.05.31.

15천톤 수출

(3,990백만원)

19.05.17.

19.05.17.

54천톤 시장격리

(18,580백만원)

19.05.17.

19.06.03.

394/kg

(51%)

6천톤 수매비축

(3,084백만원)

19.06.17.

19.06.31.

20천톤 농협 추가수매

(6,880백만원)

19.06.17.

19.06.17.

마늘

4,700/kg

(23%)

2천톤 사전 면적조절

(5,461백만원)

19.04.25.

19.04.25.

4,700/kg

(23%)

10천톤 농협 추가수매

(23,000백만원)

19.06.25.

19.06.25.

23천톤 수매비축

(52,900백만원)

19.06.25.

19.07.05.

2천톤 수입대체

( - )

19.06.25.

19.06.25.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