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방송/김주창기자] 신영대 국회의원 (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 전북 군산 ) 이 조사한 결과 올겨울 에너지 취약계층이 작년보다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이 제출한 ‘ 에너지 취약계층 발굴 현황 ’ 에 따르면 올해 (`22 년 11 월 ~`23 년 2 월 ) 에너지 취약계층은 5 만 3753 명으로 지난해 ( `21 년 11 월 ~`22 년 2 월 ) 2 만 3518 명보다 129% 증가했다 .
항목별로 살펴보면 , 올겨울 기준 전기료를 납부하지 못한 체납자가 4 만 1052 명으로 가장 많았고 , 가스나 전기가 끊긴 단가스 및 단전 사례가 각각 8324 명 , 4377 명에 달한다 . 전기료체납 · 단전 · 단가스 등 모든 에너지 요금 지표에서 에너지 취약계층이 전년에 비해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확인된다 . [ 표 -1 참조 ]
[ 표 -1] 에너지 요금 연체에 따른 취약계층 발굴대상자 ( 단위 : 명 )
구분 |
합계 |
전기료체납 |
단전 |
단가스 |
올 겨울 (A) (`22. 11.~ `23. 2.) |
53,753 |
41,052 |
4,377 |
8,324 |
지난 겨울 (B) (`21. 11.~ `22. 2.) |
23,518 |
17,915 |
1,957 |
3,646 |
동기대비 증가율 (A/B) |
129% (2.3) |
129% (2.3) |
124% (2.2) |
128% (2.3) |
공공기관 누적적자 해소를 위해 정부가 무리하게 에너지요금을 인상을 추진한 결과다 . 2022 년 정부는 네 차례 (4 월 ·5 월 ·7 월 ·10 월 ) 에 걸쳐 주택용 도시가스 요금을 5.5 원 /MJ( 약 38.7%) 올렸으며 , 전기요금 또한 세 차례 (4·7·10 월 ) 에 걸쳐 총 19.3 원 /kWh( 약 20%) 인상했다 . 게다가 , 올해 1 분기에도 전기요금을 13.1 원 /kWh 인상한 가운데 , 2 분기 전기요금 인상안을 두고 막판 조율을 앞두고 있다 .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 엎친 데 덮친 격으 로 연료비 인상과 더불어 작년 겨울 기온 변동은 1973 년 이후 50 년 동안 가장 큰 변동 폭 을 보이며 저소득층의 생활고를 가중했다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KOSIS) 에 따르면 지난해 소득 하위 20% 의 연료비 지출 증가 폭 이 가장 크게 증가했다 .
소득 분위별로 살펴보면 , 전체 가구 (1~5 분위 ) 의 연료비 지출은 평균 8.9% 증가했다 . 1 분위의 월평균 연료비는 6 만 7714 원으로 전년 (5 만 9186 원 ) 보다 14.4% 증가한 반면 , 1 분위를 제외한 나머지 2~5 분위의 증가 폭 은 한 자릿수 수준이다 . 소득 상위 20% 인 5 분위 가구의 연료비는 7.8% 늘었고 , 4 분위는 9.2%, 3 분위는 7.3%, 2 분위는 7.4% 증가했다 . [ 표 -2 참고 ]
[ 표 -2] 소득 분위별 연료비 지출 현황 ( 단위 : 원 )
월 소득 5분위 |
2022년 |
2021년 |
전년대비 증가율(%) |
전체 평균 |
89,470 |
82,160 |
8.9% |
1분위 |
67,714 |
59,186 |
14.4% |
2분위 |
74,716 |
69,598 |
7.4% |
3분위 |
87,637 |
81,699 |
7.3% |
4분위 |
100,752 |
92,252 |
9.2% |
5분위 |
116,503 |
108,026 |
7.8% |
월 소득 5 분위
2022 년
2021 년
전년대비 증가율 (%)
전체 평균
89,470
82,160
8.9%
1 분위
67,714
59,186
14.4%
2 분위
74,716
69,598
7.4%
3 분위
87,637
81,699
7.3%
4 분위
100,752
92,252
9.2%
5 분위
116,503
108,026
7.8%
이에 신 의원은 “ 올겨울 역시 에너지 빈곤의 취약성이 예외 없이 드러났다 ” 며 “ 정부의 급격한 에너지 요금인상으로 취약계층이 크게 증가하고 , 저소득층의 생활고가 심화됐다 ” 고 말했다 .
이어 “ 공공기관의 재무건전성 강화도 중요하지만 , 국민의 생활 안정이 우선이다 ” 라며 “ 공공요금 인상은 인상 폭 , 시기 , 에너지 취약계층과 저소득층을 위한 연료비 부담 완화 방안 마련 등 신중한 검토가 우선되어야 한다 ” 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