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5 (화)

  • 구름조금동두천 14.1℃
  • 맑음강릉 15.2℃
  • 맑음서울 13.1℃
  • 구름많음대전 13.1℃
  • 구름조금대구 13.8℃
  • 맑음울산 13.0℃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5.1℃
  • 맑음고창 11.9℃
  • 맑음제주 14.1℃
  • 맑음강화 12.1℃
  • 구름많음보은 12.0℃
  • 구름많음금산 12.4℃
  • 맑음강진군 14.5℃
  • 맑음경주시 14.2℃
  • 맑음거제 14.7℃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서울에서 만나는 오리엔트 최강 제국, 히타이트의 이야기

국립문화유산연구원 「2025 튀르키예–히타이트 국제학술회의」 공동 개최(4.18, 한성백제박물관)
국가유산청

[한국방송/박기문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원장 임종덕)은 주한 튀르키예 대사관, 한성백제박물관, 국립김해박물관과 함께 4월 18일 오전 10시 한성백제박물관 한성백제홀(서울 송파구)에서 「2025 튀르키예–히타이트 국제학술회의」를 공동 개최한다.

 

이번 학술회의는 2025 한성백제박물관 국제교류전 <히타이트:오리엔트 최강의 제국>(‘25.3.8.~6.8.)과 연계하여, 기원전 17세기부터 12세기까지 아나톨리아 고원을 지배했던 히타이트의 수도 하투샤 유적 등을 조명하고, 한반도 고대 문화를 꽃피운 백제 도성 유적의 발굴 성과를 함께 살펴보는 자리이다.

 

히타이트는 서아시아 지역을 지배했던 강력한 고대 제국으로, 특히 수도 하투샤와 제2의 수도 오르타쾨이/샤피누와(Ortaköy/Šapinuwa)는 히타이트의 정교한 도시계획과 방대한 문자기록, 독창적인 건축과 예술 문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이번 학술회의에서는 히타이트 및 백제 도성 유적을 직접 발굴한 연구자들이 발표자로 나서, 생생한 현장 이야기를 들려줄 예정이다. 학술회의는 총 3부로 구성되며, 3개 국가 11명의 고고학 전문가가 참여해 6개의 주제발표와 종합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1부에서는 ▲ ‘히타이트와 그들의 수도 하투샤’ (안드레아 샤흐너, 독일고고학연구소), ▲ ‘히타이트의 제2수도 오르타쾨이/샤피누와’(왼데르 이페크, 히타이트 대학교)의 주제발표를 통해, 히타이트의 수도와 제2수도의 역사와 문화유산 현황 등을 살펴본다.

 

2부에서는 ▲ ‘히타이트의 발상지 : 히타이트 문화와 예술의 기원 ’(피크리 쿨라코올루·최지연, 앙카라대학교), ▲ ‘보아즈쾨이-알라자회위크 박물관’(래술 이비시, 보아즈쾨이-알라자회위크박물관)의 2개 주제발표로 히타이트의 문화와 예술 등에 대해 소개한다.

 

3부에서는 국내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 ‘한성백제 왕도의 발굴조사 성과와 전망’(박중균, 한성백제박물관), ▲ ‘웅진·사비기 왕성의 발굴조사 성과와 전망’(김대영,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의 2개 주제 발표를 통해 한성~사비기 백제 도성의 발굴조사 성과와 전망을 논의한다.

 

주제발표 이후에는 윤형원 국립김해박물관장의 사회로 발표자와 토론자가 참여하는 종합토론이 이어질 예정이다.

 

이번 국제학술회의는 한국과 튀르키예 간의 문화유산 분야 협력 기반을 확대하고, 양국의 고고학적 조사 성과를 교류하는 의미 있는 장이 될 것이다. 또한 히타이트 유적과 우리나라 백제 도성과의 비교를 통해 문화유산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앞으로도 국내외 기관과 협력하여 세계 주요 유적에 대한 조사·연구를 지속하고, 도출된 학술적 성과를 학계와 국민에게 꾸준히 공유해 나갈 계획이다.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