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방송/최동민기자] 더불어민주당 홍정민 의원 ( 경기 고양병 ) 이 12 일 , 문화 기업업무추진비 ( 문화접대비 ) 한도를 현행 20% 에서 50% 로 상향 조정하는 내용의 「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 」 을 대표발의했다 .
문화 기업업무추진비는 2007 년 기업의 건전한 접대문화를 형성하고 문화예술 분야 소비를 촉진할 목적으로 도입된 제도다 . 업무추진비 한도가 초과되더라도 스포츠 경기 입장권 , 문화예술 전시 등에 지출할 경우 한도의 20% 까지 추가로 세제 해택을 받을 수 있다 . 하지만 최근 4 년동안 문화 기업업무추진비 지출은 전체 업무추진비 대비 0.1% 에도 미치지 못해 제도 활용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문화체육관광부가 홍정민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21 년 기업 90 만 곳의 업무추진비 신고 금액은 11 조 3 천억 원에 달했으나 , 문화 기업업무추진비 신고 금액은 31 억 원에 불과하다 .
첨부 1) 기업 업무추진비 ( 접대비 ) 및 문화 기업 업무추진비 ( 문화접대비 ) 지출 현황
( 단위 : 억원 )
신고연도 |
접대비* |
문화접대비 신고금액** |
접대비 대비 문화접대비 비율 |
|
신고금액 |
신고법인수 |
|||
2018년 |
107,065 |
740,215 |
89 |
0.08% |
2019년 |
111,641 |
787,438 |
121 |
0.11% |
2020년 |
117,469 |
838,008 |
105 |
0.09% |
2021년 |
113,740 |
906,325 |
31 |
0.03% |
출처 : 문화체육관광부
* 접대비 : 국세청 국세통계연보 참고
** 문화접대비 신고금액 : 국세청 추정치임
제도 활성화를 위해 추가 손금 인정 요건을 폐지하고 , 접대 범위를 확대하는 등 개정을 거듭해왔지만 세제혜택은 아직 부족해 제도이용 요인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 실제로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조사한 ‘2021 년 문화접대비 사용현황 실태조사 ’ 에 따르면 문화 기업업무추진비 제도 활성화 방안으로 ‘ 세제혜택 확대 ’ 가 56.5%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첨부 2) 문화 기업 업무추진비 제도 활성화 방안
(N=1,000, 단위 : %( 중복응답 ))
구분 |
사례수 (단위: 개) |
문화접대비 세제혜택 확대 |
사회적 인식개선 |
경영진 의지 |
포탈 서비스 운영 |
타 기업의 활용사례 공유 |
기타 |
|
전체 |
1,000 |
56.5 |
38.3 |
29.1 |
28.1 |
23.6 |
1.4 |
|
기업규모 |
중소기업 |
936 |
56.6 |
39.3 |
29.2 |
29.3 |
23.2 |
1.2 |
중견 및 대기업 |
64 |
54.7 |
23.4 |
28.1 |
10.9 |
29.7 |
4.7 |
|
문화접대비 인지도 |
인지 |
136 |
58.1 |
31.6 |
25.7 |
22.8 |
30.9 |
1.5 |
비인지 |
864 |
56.3 |
39.4 |
29.6 |
28.9 |
22.5 |
1.4 |
|
문화접대비 활용 여부 |
활용 |
13 |
76.9 |
38.5 |
0 |
23.1 |
30.8 |
0 |
비활용 |
123 |
56.1 |
30.9 |
28.5 |
22.8 |
30.9 |
1.6 |
이에 홍정민 의원은 문화 기업업무추진비 제도 촉진을 위해 개정안을 마련한 것이다 . 홍 의원은 “ 한도 상향으로 제도 활성화뿐만 아니라 문화예술 산업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며 “ 더불어 기업에 대한 홍보를 확대하는 등 다방면의 방안이 병행되어야 할 것 ” 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