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박기문기자] 경찰청(청장 윤희근)은 11. 16.(목) 현대기아자동차 남양기술연구소(경기 화성시 남양읍 소재)에서 도로교통공단(이사장 이주민), 현대차·기아(CTO 사장 김용화)와 함께 미래형 이동 수단 시대 대비, 데이터 융복합 기반 교통안전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이번 협약을 통해 각 기관은 경찰청이 제공하는‘실시간 교통 신호정보’를 바탕으로 ▵실시간 교통 신호정보 연계 처리 및 데이터 융복합 기반 구축, ▵신호정보를 활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 ▵자율주행 등 미래 차 기술 연구개발 등 교통안전을 위한 데이터 활용과 미래 이동 수단 관련 연구·사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것을 약속했다.
그간 자율주행차 및 실외 이동로봇은 교통 신호정보를 자체 센서로 인식했는데, 대형차량으로 인한 시야 제한 및 폭우·안개 등에 의한 기상악화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 교통안전에 대한 우려가 제기돼왔다.
이에 경찰청은 도로교통공단과 2017년부터 5년간 실시간 교통 신호정보를 자율주행차에 직접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그 결과 신호정보를 현장 신호정보와 차이를 ‘0.1초 이내’로 줄이는 실시간성을 확보했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차·기아는 ▵내비게이션을 통한 신호 잔여 시간 표출 서비스, ▵차량 흐름 개선, ▵운전자의 운전 습관 행태 분석 등 안전한 교통환경을 조성하는 데 활용하기로 했다.
향후 경찰청은 전국 11개 지방자치단체와 3개 민간업체가 포함된 협의체*를 활용해 해당 서비스의 확대를 도모할 예정이며, 2024년에는 정부 예산 4억 4천만 원을 들여 자율주행차 및 실외 이동로봇 대상으로 실증사업을 진행할 도시를 공모할 계획이다.
┏(지자체)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제주, 강릉, 파주, 청주, 군산(11)
┗(민간기업) 카카오모빌리티, 티맵모빌리티, 아이나비시스템즈(3)
현대차·기아 김용화 사장은 “빅데이터 시대를 맞이하여 민-관 데이터의 융복합 및 기술 고도화 협업 체계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라며 “현대차·기아는 확보된 실시간 교통 신호 데이터를 활용해 운전자의 편의 향상은 물론, 교통안전 증진에도 경찰청, 도로교통공단과 함께해 나갈 것이다.”라고 밝혔다.
도로교통공단 이주민 이사장은 “그동안 공단은 자율주행 시대를 맞이하기 위해 많은 기술개발과 실증을 지속해왔으며, 이번 현대차·기아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꽃을 피울 수 있게 됐다.”라며, “앞으로 다가올 미래 이동 수단 시대에 운전자들의 교통 편의성과 안전 증진을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윤희근 경찰청장은 “이동 수단의 혁신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이 전제된 기술의 상용화이고 민간과 공공이 서로의 벽을 허물어 데이터를 공유하고 융복합하여, 기술개발에 협력하여야 한다.”라며, “경찰청은 법제도 개선과 적극적인 데이터 개방을 통해 국민 일상에 미래 이동 수단이 안전하게 정착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