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뉴스/유영재기자) 정부는 18일 오전 10시 광주시 국립5·18민주묘지에서 ‘5·18정신으로 국민화합 꽃피우자’라는 주제로 유족, 사회 각 분야 대표 시민, 학생 등 3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36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을 거행한다고 16일 밝혔다.
보훈처는 “올해 행사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은 공식식순에 포함해 합창단이 합창하고 원하는 사람은 따라 부를 수 있도록 ‘참석자 자율의사’를 존중하면서 노래에 대한 찬·반 논란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동안 ‘임을 위한 행진곡’ 노래의 기념곡 지정과 제창에 대한 논란과정은 5·18민주화운동이 1997년 정부기념일로 제정된 이후 정부기념식에서 2008년까지는 ‘제창’을 해왔으나, 2008년 정부기념식 직후 보훈·안보단체에서 “특정단체에서 국민의례 시 애국가 대신 민주열사에 묵념하며 대한민국을 부정하는 노래를 부르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문제 제기가 있었다.
이후 2016년 현재까지도 ‘임을 위한 행진곡’ 기념곡 지정·제창과 관련해 찬성과 반대 논란은 끊이지 않고 있다.
기념곡 지정은 5대 국경일, 46개 정부기념일, 30개 개별 법률에 규정된 기념일에 정부에서 기념곡을 지정한 전례가 없고 ‘애국가’도 국가 기념곡으로 지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기념곡으로 지정할 경우 ‘국가 기념곡 제1호’라는 상징성 때문에 또 다른 논란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훈처는 밝혔다.
따라서 정부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본 행사인 기념공연에서 합창단이 합창하고 부르고 싶은 사람은 따라 부르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부르지 않을 수 있도록 ‘참석자 자율의사’를 존중하는 것이 논란을 최소화하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했다.
한편, 올해 기념식에는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문제 등으로 2년간 기념식에 참석하지 않았던 부상자회, 유족회, 구속부상자회 등 5·18 3개 단체와 5·18행사위가 기념식에 모두 참석할 예정이다.
보훈처 관계자는 “앞으로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통해 5·18 정신을 기리고 국민통합에 기여하는 기념식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