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한상희기자] 민주평화당에서 활동 중인 장정숙 의원(비례대표)
은 강북삼성병원 임세원 교수 사망 사건과 관련하여 고인을 추모하고, 비
극이 재발하지 않도록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힘.
장 의원이 보건의료노조에서 실시한 ‘2018년 보건의료노동자 실태조
사’를 분석한 결과, 보건의료인 11.9%가 폭행 피해경험자임. 전체 보건의
료인으로 단순계산 했을 때 약 8만여명(79,747명)이 폭행 피해경험자로
추정됨.
하지만 복지부는 관련 연구용역, 실태조사, 대응메뉴얼도 전혀 없었음.
보건의료인 11.9%가 폭행 피해경험자 (환자 71%, 보호자 18.4%). 하지만 복지부는 관련 실태조사도
연구용역 자료, 대응메뉴얼도 전혀 없어
보건의료노조가 실시한 ‘2018년 보건의료노동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2만 7,304명 중 폭행 경험자는
3,249명(11.9%)로 나타남
폭행 경험 중 폭행 가해자는 환자가 71%, 보호자가 18.4%를 차지. 또한 폭행을 당했을 때 대응방식에 대
해서는 “참고 넘겼다”가 66.6%로 가장 높게 나타남
[표1] 폭행 경험 실태 및 주된 가해자
구분 | 피해경험 | 주된 가해자 | ||||||
있다 | 없다 | 사례수 (명) | 상급자 | 의사 | 동료 | 환자 | 보호자 | |
폭행 | 11.9 | 88.1 | 27,304 (100.0) | 4.7 | 2.7 | 3.2 | 71.0 | 18.4 |
출처 : 보건의료노조(18.7월, 단위:%)
[표2] 폭행 대응방식
구분 | 폭행 |
참고 넘겼다 | 66.6 |
직장 상사나 동료 등 주위에 도움을 요청했다 | 29.6 |
노동조합이나 고충처리위원회 등을 통해 문제 해결을 요청했다 | 1.0 |
법적 대응 또는 제도적 장치를 통하여 문제를 해결 했다 | 2.7 |
출처 : 보건의료노조(18.7월, 단위:%)
2017년 말 기준 전체 보건의료인은 67만 146명. 이 중 11.9%가 폭행 피해자로 추정했을 때 약 8만여명
(79,747명)이 폭행 피해경험자로 추정.
[표3] 보건의료인 최근 통계
구 분 | 면허자 수 | 의료기관 활동 현황 수 | ||||||
합계 | 종합병원 | 병 원 | 의 원 | 조산원 | 약 국 | 보건기관 | ||
합 계 | 1,618,625 | 670,146 | 194,279 | 168,569 | 261,526 | 41 | 30,629 | 15,102 |
의 사 | 121,571 | 100,241 | 41,128 | 16,602 | 40,348 | 0 | 0 | 2,163 |
치과의사 | 30,333 | 25,300 | 1,087 | 2,546 | 21,216 | 0 | 0 | 451 |
한의사 | 24,560 | 20,389 | 29 | 3,612 | 15,722 | 0 | 0 | 1,026 |
조산사 | 8,297 | 68 | 11 | 10 | 18 | 28 | 0 | 1 |
간호사 | 374,990 | 185,853 | 108,675 | 55,769 | 15,999 | 1 | 0 | 5,409 |
간호조무사 | 681,276 | 171,027 | 11,977 | 51,360 | 104,708 | 12 | 0 | 2,970 |
임상병리사 | 56,238 | 22,152 | 10,962 | 3,826 | 6,602 | 0 | 0 | 762 |
방사선사 | 42,736 | 23,810 | 9,503 | 5,717 | 8,091 | 0 | 0 | 499 |
물리치료사 | 62,586 | 35,587 | 3,388 | 14,738 | 16,864 | 0 | 0 | 597 |
작업치료사 | 14,727 | 6,258 | 994 | 5,083 | 175 | 0 | 0 | 6 |
치과기공사 | 34,199 | 2,558 | 120 | 379 | 2,057 | 0 | 0 | 2 |
치과위생사 | 74,589 | 35,091 | 1,219 | 3,658 | 29,050 | 0 | 0 | 1,164 |
의무기록사 | 23,907 | 4,832 | 1,940 | 2,252 | 619 | 0 | 0 | 17 |
약 사 | 68,616 | 36,980 | 3,246 | 3,017 | 57 | 0 | 30,629 | 35 |
출처 : 보건복지부(17.12월, 단위: 명)
하지만 보건복지부는 지금까지 진료 중인 보건의료인 보호를 위한 연구용역 및 실태조사, 대응메뉴얼이 전무
한 상황
※ 지난 5년간 복지부에서 연구용역 개발비로 총 5,026억 2,900만원을 사용. 하지만 진료 중인 보건의료인을 보
호하기 위한 연구용역 개발은 전무한 상황
※ 의사협회에 따르면 환자에 의한 의료진 피살은 확인된 사안만 4건. 또한, 의료인 폭행 사건 사례가 많아
의료기관 내 폭행·협박 등 대책 촉구를 계속했지만 복지부는 나몰라라
[표4] 2014~2018년 연구용역 관련예산
(단위 : 백만원)
예산과목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합계 |
260-00(연구개발비) | 97,846 | 99,620 | 93,057 | 97,277 | 114,829 | 502,629 |
또한, 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정신장애범죄자는 9,027명으로 2013년도 5,858명에 비해 54% 증가
한 것으로 나타남
[표 5] 최근 5년간 정신장애범죄자 현황
구분 | 정신장애범죄자 |
2013 | 5,858 |
2014 | 6,265 |
2015 | 6,980 |
2016 | 8,287 |
2017 | 9,027 |
13년 대비 17년 증가율 | 54% |
출처 : 경찰청(단위: 명)
중증 정신질환 환자를 제대로 추적 관리하지 않는다면 ‘제2의 임세원 교수’ 사건을 막을 수 없다는 우려. 하지만 정
신질환 환자 인권문제도 중요함.
이에 장정숙 의원은 “의협 등 의료인 관련 단체에서 지속적으로 의료기관 내 폭행·협박 등 대책 촉구를 계속
한 것으로 아는데, 그동안 복지부는 대책 마련에 소홀했다”고 밝힘.
또한 “의료 현장에서 환자와 보건의료인 모두의 안전이 확실히 보장돼야만 보다 많은 환자들이 건강을 되찾을
수 있다”고 강조하며 “앞으로 이런 비극이 재발하지 않도록 실태조사와 함께 필요하다면 의료인 안전 대책 마
련을 위한 연구용역도 필요하다”고 밝힘.
아울러 장 의원은 "중소병원과 같이 재정이 열악한 의료기관의 경우 안전요원 배치가 어렵기 때문에 이를
위한 예산 일부를 국가가 지원해주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힘.
또한, 정신질환자에 대한 퇴원 후 추적관리 등 사후조치의 미흡함에 대해 지적하는 한편, 정신질환자에 대
한 편견을 없애기 위한 보건복지부의 적극적인 개선의지를 촉구하였음.
마지막으로 고 임세원 교수가 사건 후 동료들을 대피시킨 노력등을 감안하여 의사자 지정을 보건복지부가
긍정적으로 검토해줄 것을 요청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