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뉴스(주)) 그간 정부·대학 등 공급자 위주로 제공되어온 창업지원 서비스를, 대학(원)생·졸업자 등 창업 수요자의 준비상태 및 역량 등에 따라 체계화하고 맞춤형으로 지원한다고 교육부가 밝혔다.
교육부와 중소기업청은 지난 27일(수) 부처합동으로 '청년·여성 취업연계 강화방안'을 발표했으며, 동 대책의 핵심 정책과제중 하나로서 “대학 창업지원 체계화”를 올 하반기부터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대학은 교수·석박사 등 우수한 인력과 연구장비, 특허 등 지식재산 등이 집적되어있는 “창업의 요람”으로서, 정부는 ‘창조형 청년창업가 발굴·양성’을 국정과제로 설정하고,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교육부),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중기청) 등을 통해, 대학의 창업지원 역량 제고를 위한 창업교육 및 사업화 프로그램을 지원해 왔다.
대학과 정부의 노력이 맞물려, 지난 2013년 이후 학생창업의 원천인 창업동아리 수가 233.1% 증가했고, 창업휴학제도 등 창업친화적 학사제도 도입 대학도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이나, 대학재학생이나 석박사 과정 등 대학원생, 졸업후 사회경험이 있는 창업준비자 등 다양한 창업 수요(needs)를 고려한 창업교육 및 지원체계가 미흡했고, 창업에서 차지하는 대학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창업지원서비스가 일부 정부사업 참여대학에 국한되어 제공하는 한계도 존재했다.
이에, 교육부는 창업선도대학 운영 등을 통해 축적된 우수한 창업지원제도 및 사례들을 종합하여, 수요자의 입장에서 대학의 바람직한 창업지원을 체계화하는 방안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이번에 교육부와 중기청이 함께 마련한 주요 대책을 살펴보면, 첫째 '대학 창업지원 모델'을 정립 및 확산한다.
현재 우수한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한국산업기술대·인덕대 등 창업선도대학 우수사례를 종합하여, 바람직한 “대학 창업지원모델”을 정립·확산할 계획이다.
둘째, 대학(원)생 등의 창업 접근성을 제고한다.
대학재학생 및 대학원생 등이 창업에 뜻을 두는 경우, 대학이 제공하는 창업지원제도 및 프로그램에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정보전달 통로도 마련할 계획이다.
셋째, 대학내 창업지원 역량을 제고한다.
대학이 발굴·양성하는 창업기업의 도약 및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창조경제혁신센터 등 판로·자금·수출 등 유관지원기관과 업무협약을 통해 공동 육성(교육부-미래부 협업)한다.
아울러, 대학적립금 등을 활용한 “(가칭)대학창업펀드” 조성을 촉진하기 위해, ‘중소기업 모태펀드’ 내에 별도의 계정 설치 및 매칭 출자를 추진할 예정(교육부-중기청 협업)이다.
정부는 위와 같은 대학 내 창업지원 전달체계 혁신을 통해, 그간 대학 내에 축적되어 있는 창업지원 제도 및 인프라가 보다 수요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서비스 될 것으로 내다 봤으며, 아울러,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와 함께 전국 100여개 대학에 “원스톱 창업상담창구”가 설치되어, 창업을 하고 싶은 사람이지원제도와 정책을 몰라서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빠르게 감소할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