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최동민기자] 부처 간 칸막이를 없애고 소통과 협업 강화를 위해 추진 중인 국․과장급 전략적 인사교류가 확대 시행된다.
인사혁신처(처장 연원정)와 국무조정실(실장 방기선)은 지난 2월에 이어 2차 ‘전략적 인사교류’ 과장급 14개, 국장급 4개 등 18개 직위를 추가 선정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로써 정부가 전략적 인사교류로 선정해 운영하는 직위는 1차 24개를 포함해 총 42개 직위다.
전략적 인사교류는 국정과제 등 범부처 협업 분야·과제를 중심으로 부처 간 상호 이해가 필요하거나 전문성을 활용할 수 있는 24개 직위(국장급 10개, 과장급 14개)를 대상으로 지난 2월 처음 시행했다
교류자를 중심으로 부처 간 협업과제를 발굴하고 협업 추진 노력을 기울인 결과, 부처 간 제도 연계 및 협의기간 최소화 등 행정 효율성을 높이고 국민의 편의가 제고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차 전략적 인사교류 협업 주요 성과> |
|||
구분 |
교류기관 |
협업과제 내용 |
주요 성과 |
행정 효율성 |
국토부 -환경부 |
용인반도체 산단 신속 조성 |
・환경영향평가 기간 통상 1년 → 4개월 ・국가・일반산단 통합용수관로 설치 |
산업부 -중기부 |
경제자유구역과 규제자유특구 연계 |
・경자구역청장에게도 규제특구 신규 지정 신청권한 부여 추진 ・규제실증부터 입주 등 사업화까지 체계적 지원 |
|
국민 편의 제고 |
문체부 -해수부 |
국내관광과 결합한 크루즈 관광 활성화 |
・크루즈관광객 증가 |
고용부 -교육부 |
직무능력은행과 교육행정정보 |
・한 곳에서 NCS 교과 이수정보・국가기술자격 취득정보 모두 발급 → 직업계고 학생 편의 제고 |
|
농식품부-식약처 |
생산-유통단계 부적합 농산물 |
・합동조사로 국민부담 경감, 부적합 농산물 발생시 신속한 원인 규명 등 조기 대처 |
□ 2차 전략적 인사교류는 이와 같은 1차 교류의 추진 성과를 바탕으로 범부처 중요과제의 원활한 이행과 구체적인 성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보다 다양한 분야의 세부적인 업무 범위로 교류 대상을 다변화했다.
ㅇ 국정과제 등 주요 정책 현안 등을 중심으로 기관 간 협업이 긴요한 분야에 대해 부처 간 검토를 거쳐 고용노동부 기업일자리지원과장-중소벤처기업부 인력정책과장 등 과장급 직위를 중점 발굴했다.
ㅇ 특히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 방위사업청, 금융위원회 등 그간 전략적 인사교류가 시행되지 않았던 기관도 처음으로 참여해 다양한 정책분야로 전략적 인사교류를 확산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 2차 전략적 인사교류 주요 직위 >
협업 분야 |
교류직위 |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를 위한 고용지원 강화 |
기업일자리지원과장(고용부) ↔ 인력정책과장(중기부) |
기업 옥석가리기를 통한 국민경제 활성화 |
정책기획과장(기재부) ↔ 기업구조개선과장(금융위) |
항만 재개발 사업과 연계한 도시재생사업 |
도시재생과장(국토부) ↔ 항만연안재생과장(해수부) |
국방규격 관리를 통한 국방 자원 배분의 효율성 제고 |
재정회계담당관(국방부) ↔ 기반전력사업표준자원 관리팀장(방사청) |
□ 이번 2차 전략적 인사교류는 내년 1월 중 교류 시행을 목표로 교류자 선발 등 관련 절차를 진행하고 이후 직위별 세부 협업과제 선정을 추진할 예정이다.
ㅇ 또한 인사처와 국조실은 인사교류를 통한 협업이 실질적인 성과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주기적으로 협업과제 실적을 점검․평가하고, 교류자에게 평가․수당 우대 등 인사상 특전을 부여할 방침이다.
ㅇ 아울러 교류자가 우수한 역량을 마음껏 펼칠 수 있도록 교류자 아래 직급자와 함께 교류하는 ‘동반 교류’를 활성화하는 등 협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 전략적 인사교류의 범정부적 확산과 정착을 위해 노력해 나갈 계획이다.
□ 연원정 인사처장은 “전략적 인사교류를 통해 국민이 체감하는 구체적이고 명확한 정책 성과를 창출하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공직사회에 소통과 협업의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방기선 국조실장은 “그간 전략적 인사교류는 정부 효율성 및 국민 편의 제고로 직결되도록 사람-업무-성과가 연결되는 통합형 성과관리를 통해 ‘일이 되게 하는’ 협업 분위기 조성을 위해 노력했다”며 “향후 기존 협업과제는 2024 정부업무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고도화하고, 신규 협업과제는 민생현안 등 협업이 긴요한 분야를 중심으로 발굴・추진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이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