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0 (일)

  • 맑음동두천 9.1℃
  • 흐림강릉 9.5℃
  • 박무서울 9.5℃
  • 흐림대전 13.9℃
  • 구름많음대구 18.8℃
  • 흐림울산 13.2℃
  • 광주 16.5℃
  • 박무부산 16.6℃
  • 구름많음고창 14.4℃
  • 구름많음제주 16.8℃
  • 맑음강화 6.6℃
  • 흐림보은 14.7℃
  • 흐림금산 15.1℃
  • 구름조금강진군 17.0℃
  • 구름많음경주시 12.0℃
  • 흐림거제 17.4℃
기상청 제공

피플

역사와 문화가 있는 5개 등대, ‘등대문화유산’으로 지정

- 소록도등대, 한산항등표, 암태도등대, 어룡도등대, 하조도등대 추가 지정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전라남도 고흥군 소록도등대 등 5개를 등대문화유산으로 추가 지정하였다.

 

해양수산부는 지어진 지 50년이 넘어 역사·문화·예술·사회적 가치가 있는 등대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보존‧관리하기 위해 2006년부터 팔미도등대, 가덕도등대, 호미곶등대, 어청도등대 등 24개를 등대문화유산으로 지정해오고 있다.

 

올해는 건축‧역사‧해양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내·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등대문화유산위원회의 현장 조사와 관련 자료 연구 등을 바탕으로 전라남도 고흥군 소록도등대,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항등표, 전라남도 신안군 암태도등대, 전라남도 완도군 어룡도등대, 전라남도 진도군 하조도등대 등 5개를 추가 지정하기로 최종 결정하였다.

 

이번에 추가 지정된 등대들은 건립 당시 시대상과 우리나라 건축 기술의 발전을 보여주는 소중한 유산으로, 특히 지금까지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더욱 인정받았다. 이에 따라 등대문화유산은 총 29개로 늘어나게 되었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등대문화유산이 해양관광 자원 등으로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더욱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등대의 가치를 국민들께서 함께 공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등 등대가 해양문화 발전에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등대문화유산 신규 지정 등대(5개)

구분

등대명

(건립연월)

사진

지정 의의

소재지

25

소록도등대

(1937.10.)

소록도 한센병 환자들의 강제 노역으로 지어진 등대(벽돌조), 건립 당시 시대(일제시대) 상을 반영

전남 고흥군 도양읍 소록리 산180번지

26

한산항등표

(1963.12.)

우리나라 최초 조형 등대이며, 등탑 하부는 거북선 형태로 이 지역에서 일어난 한산대첩 기념

경남 통영시 한산면 두억리 산 42-33

27

암태도등대

(1913.11.)

원형(벽돌조)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건립 당시의 기술을 이해하는데 도움

전남 신안군 암태면 신석리 산 39

28

어룡도등대

(1910.10.)

우리나라 초기 콘크리트 타설 기법이 적용되어 당시 항로표지 건축 발전 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

전남 완도군 노화읍 내리 산 375

29

하조도등대

(1909.02.)

등탑 입구의 바로크식 아치는 건립 당시 시대를 이해할 수 있는 단초 제공

전남 진도군 조도면 창유리 1-2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