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안전부(장관 전해철)는 본격적으로 장마가 시작되면서 물기로 인한 감전사고와 대기불안정으로 인한
낙뢰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아져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최근 3년(‘17~’19년, 합계)간 전기 감전으로 인한 사상자는 총 1,555명이며, 이 중 63명이 사망하였다.
이러한 감전 사상자 4명 중 1명(25.7%, 총 1,555명 중 399명)은 장마 등으로 비가 자주 내리는 7월과 8월 사
이에 발생하였다.
최근 3년(‘17~’19년)간 연도별, 월별 감전사상자 현황 | |
<연도별> 단위: 명) | <월별> |
감전의 형태별로는 전기가 흐르는 충전부 직접 접촉이 52.6% (총 1,555명 중 818명)로 절반을 넘게 차지하
였고, 아크*(불꽃방전) 35.2%(548명), 그리고 누전** 7.2%(112명) 등으로 발생하였다.
*전기합선과 유사한 현상으로 생성된 불꽃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
**절연 불량 전기기계나 손상된 전선 등을 통해 전기가 전깃줄 밖으로 흐르는 현상
연령대별로는 46~50세가 206명(13.2%)으로 가장 많았고, 60세 이상이 203명(13.1%)로 뒤를 이었다.
특히, 0~5세에서의 감전 사상자가 85명(5.5%)이나 발생하고 있어 영유아 감전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가 필
요하다.
최근 3년(‘17~’19년)간 형태별, 연령별 감전사상자 현황 | |
<형태별> (단위: 명) | <연령별> (단위: 명) |
감전 사상자는 주로 전기공사와 보수, 관련기기 운전과 점검 등으로 발생했지만, 장난과 놀이로 인한 사상자
도 97명(6.2%)이나 차지하였다.
한편, 여름철에는 대기 불안정으로 인한 낙뢰가 잦은 시기로 야외활동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20.8.22.) 북한산 만경대 등산 중 낙뢰사고(1명 사망, 1명 부상)
최근 10년(‘11~’20)간 관측된 낙뢰는 연평균 117,681회이며, 7월과 8월에 65.9%(총 117,681회 중 77,569
회)의 많은 낙뢰가 발생하였다.
최근 10년(‘11~’20년)간 연도별, 월별(평균) 낙뢰 횟수 | |
<연도별> | <월별> |
여름철에 발생하기 쉬운 감전사고와 낙뢰 등 안전사고를 예방하려면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의하여야 한다.
<감전사고 예방>
감전사고를 예방하려면 누전차단기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전기 설비를 정비하거나 보
수할 때는 반드시 전원을 차단하고 작업하도록 한다.
젖은 손으로 전기용품이나 콘센트를 만지는 것은 감전의 위험이 높으니 물기를 제거한 마른 상태로 사용
하여야 한다.
특히, 물기가 많은 욕실에서 헤어드라이어 등 전기제품을 사용할 때는 감전사고에 각별히 주의한다.
또한, 어린이 감전사고를 예방하려면 콘센트로 장난치지 않도록 안전 덮개를 씌우고, 이동식 콘센트(멀티탭)
나 전선 등은 아이 눈에 띄지 않도록 정리하여 사용한다.
이때, 어린이가 전깃줄을 가지고 놀거나 쇠젓가락·금속 놀잇감 등으로 콘센트에 장난치지 않도록 보호자가
관리하여야 한다.
또한, 장마철에는 전기를 이용하는 도로 위 세움(입)간판 관리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데, 비가 오면 물기
가 없는 안전한 곳으로 옮기고 전선 등이 노출되지 않도록 잘 갈무리 한다.
아울러, 공사장·작업장 등에서는 바닥에 늘어져 있는 전선이나 전기선에 접촉 가능한 철 구조물 등을 점검하
여 사고를 예방한다.
<낙뢰사고 예방>
낙뢰가 예보될 때는 외출을 삼가고, 실외에 있을 때 낙뢰가 치면 자동차나 건물 안, 그리고 지하공간 등
안전한 곳으로 대피한다.
또한, 야외활동 중 낙뢰가 치면 주변에서 큰 나무나 바위 등 높이 솟아있는 곳은 피하고, 물기가 없는 낮고
움푹 파인 곳으로 즉시 대피하여야 한다.
이때, 자세는 낮추고 우산이나 지팡이 등 길고 뾰족한 금속으로 된 물건은 몸에서 멀리 둔다.
<강풍피해 예방>
강풍 예보 시, 바람에 날아가기 쉬운 물건은 안전한 곳으로 옮기고, 간판이나 철탑 등 옥외설치물도 단단히
고정하여야 한다.
문과 창문을 잘 닫아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노후된 창문 등은 사전에 교체하거나 보강하도록 한다.
또한, 부득이하게 외출 시에는 공사장 등에 가까이 가지 말고 강풍에 날아오는 낙하물 등에 각별히 주의한다.
운전 중 강풍이 불 때는 반대편에서 오는 차량에 유의하며 인접한 차로의 차와 안전거리를 유지하고, 평소보다 속
도를 줄여 운행하여야 한다.
고광완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은 “올해는 예년보다 다소 늦게 장마가 시작되었음에도 초반부터 강
한 바람을 동반한 많은 비로 각종 사고의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며
“강풍·호우 등 기상예보 시에는 가급적 외출을 자제하고 안전수칙을 잘 지켜 불의의 사고를 예방하여야 한
다.“고 하였다.
국민행동요령
<장마철에 자주 일어나는 전기안전 사고와 예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