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이용진기자] 4일 열린 국회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질문에서는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없이 임명된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두고 여야가 충돌했다.
이날 대정부질문은 시작부터 고성이 오갔다. 유 부총리가 신임 국무위원 인사를 하자 여당의원들 사이에서 "잘했다"는 목소리가 나왔지만 야당 의석에선 "사퇴하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한국당 의원들이 유 부총리 문제를 집중적으로 겨냥하자 홍영표 민주당 원내대표가 대정부질문 사회를 맡은 이주영 국회부의장에게 "제지를 해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이에 맞서 김성태 한국당 원내대표 역시 홍 원내대표의 항의에 반발하면서 여야의 대치는 더욱 거세졌다.
주광덕 한국당 의원은 "교육 현장에 있는 교직원, 학부모, 교육계 원로들의 반대가 상당했는데 (문재인 대통령이) 임명을 강행해 대단히 유감"이라며 유 부총리를 불러 "교육 전문성이 결여돼 있다는 교육계 전반의 평가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주 의원은 이어 "공정과 정의를 바로 세워야 하는 주무장관이 교육부 장관인데 자신의 자녀를 좋은 학교에 보내려고 위장전입을 했다"고 비판했다.
김삼화 바른미래당 의원도 "문재인 대통령은 적폐청산을 하겠다면서 캠코더(캠프·코드·더불어민주당) 낙하산인사로 신(新)적폐를 만들었다"며 "유은혜 부총리 임명을 강행한 것은 인사청문회를 무시한 행태로 국민의사를 무시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낙연 국무총리도 "청문회 과정에서 본인의 주의부족이나 과오에 대해 사과와 반성의 뜻을 밝힌 것 같고, 많은 의혹들은 과잉보도나 부정확한 보도가 있었고 청문회 과정에서 충분히 설명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답했다.
유 부총리도 위장전입 의혹에 대해 "이유여하를 불문하고 여러 차례 국민들께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렸고 위장전입과 관련된 국민 여러분의 지적에는 아프게 받아들이고 거듭 죄송하다고 말씀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다만 "딸이 입학한 초등학교는 명문 초등학교가 아니고 당시 (학교가 위치해 있던) 서울 중구 시내에 있었던 학교는 입학생들이 부족했던 실정이었다"고 해명했다.
한편 유은혜 부총리는 "놀이 중심의 유치원 방과 후 영어 교육을 허용하는 것으로 교육부가 입장을 정리했다"고 밝혔다. 유 부총리는 "교육부는 유치원 영어 교육 금지를 1년간 유예하고 여러 현장의 학부모 의견을 듣고 조사나 바람직한 방과 후 과정을 어떻게 이룰지 의견을 수렴해왔다"면서 "학부모가 방과 후 영어 교육을 금지된다는 우려도 듣고 놀이 중심으로 기회를 주는 것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방과 후 영어 교육 관련 교육청과 유치원의 자율적 판단에 따라 기회를 열어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