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한용렬기자]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이상민(더불어민주당, 대전유성을)의원이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유휴ㆍ저활용 연구장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유휴ㆍ저활용 연구장비의 25%는 최근 5년 이내에 구매한 장비인 것으
로 나타났다. 지난 5년 간 구매한 연구장비 중 유휴ㆍ저활용 장비는 158개로 연구장비 구매액만470억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
다.
<전체 유휴•저활용 장비 현황 (단위:개,원)> | ||||
구분 | 전체 | 최근 5년내 구매 장비 | ||
보유량 | 취득금액 | 보유량 | 취득금액 | |
유휴 | 224 개 | 67,454,746,250 원 | 42 개 | 23,680,185,170 원 |
저활용장비 | 404 개 | 44,733,872,208 원 | 116 개 | 23,222,813,164 원 |
계 | 628 개 | 112,188,618,458 원 | 158 개 | 46,902,998,334 원 |
* 유휴장비: 최근 6개월간 사용되지 않은 연구장비, 저활용장비: 연간 10% 미만 사용된 연구장비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지난 5년간 구매한 유휴ㆍ저활용 연구 장비 158개중의 34%인 53개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24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재료연구소가 14개로 뒤를 이었다.
지난 5년간 유휴ㆍ저활용 장비 구매에 사용한 예산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167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한국원자력연구
원 108억 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62억 원, 한국과학기술원이 26억 원을 사용했다.
[최근 5년간 유후•저활용 유휴 장비 출연연별 현황]
출연연 | 연구장비 수 | 취득금액 | |||
한국원자력연구원 | 53 | 10,840,787,006 |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24 | 16,714,851,000 |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20 | 6,266,213,636 |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14 | 2,643,309,230 | |||
재료연구소 | 14 | 806,465,086 | |||
한국전기연구원 | 11 | 7,109,340,000 |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9 | 569,675,285 |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5 | 343,857,310 |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4 | 1,363,304,565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2 | 96,695,216 |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1 | 88,000,000 | |||
한국한의학연구원 | 1 | 60,500,000 |
이상민 의원은 “출연연의 유휴ㆍ저활용 장비중 최근 5년 내에 구입한 연구장비가 25%에 달한다”며 “연간 10%미만 혹은 6개월
간 사용하지 않는 등 제대로 활용되지 않는 연구 장비에460억이나 예산을 투입한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활용할 수 있는 연구분야가 적은 특수 장비들은 저활용・유휴 장비의 기준을 달리해 등록ㆍ관리하고 민간에 홍보해
활용도를 높이는 등의 개선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하며“연구장비 구매에는 세금이 쓰이는 만큼 연구에 반드시 활용되는 장비를
계획적으로 구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