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이용진기자] 여야 4당(더불어민주당·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정의당)의 패스트트랙 법안 지정으로 자유한국당이 장외투쟁을 벌이며 4월 임시국회가 ‘빈손’으로 끝날 가능성이 커진 가운데 국회정상화를 놓고 공방이 이어졌다. 여야 4당은 장외투쟁을 벌이는 한국당이 국회로 조속히 복귀해야 한다고 강조했고, 한국당은 패스트트랙 철회를 요구하며 사과하라고 맞섰다.
더불어민주당은 4일 홍익표 수석대변인 구두논평을 통해 “싸우더라도 국회에서 싸워야 한다. 한국당은 하루라도 빨리 국회로 돌아오라”고 했다.
홍 수석대변인은 “민생 현안이 뒤처질수록 피해는 국가와 국민에게 돌아간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며 “이유를 불문하고 국회로 돌아와 추가경정예산 처리를 시작으로 민생 현안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고 했다.
정호진 정의당 대변인은 이날 구두논평을 통해 “태극기부대의 2중대 자유한국당으로 인해 국회 가동 중단이 장기화하고 있다. 한국당을 향한 더 거센 퇴출 운동이 일어나기 전에 국회로 돌아와야 한다”면서 “산적한 민생법안에 먼지가 켜켜이 쌓이고 있다. 해야 할 일을 하지 않는 한국당을 불량정당이라 해도 전혀 무리가 없다”고 비판했다.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은 국회 정상화를 위해 한국당은 물론 민주당과 청와대도 나서달라고 주문했다.
이종철 바른미래당 대변인은 이날 구두논평을 통해 “한국당은 장외 투쟁만이 능사가 아니다. 국민들의 비판과 지탄에 대해 투명하게 볼 줄 알아야 한다”면서도 “민주당도 여당답게 책임감 있게 나서야 한다. 대통령이 극한 대립을 풀기 위해 협치 전면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정현 평화당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한국당은 억지를 부리지 말고 국회로 복귀해야 한다. 경부선과 호남선을 탄다고 해법이 나오는 것은 아니다”면서 “필요하다면 청와대 영수회담이라도 열어서 국회 정상화를 모색해야 한다. 국회에는 추경, 노동 문제 등 각종 현안이 산적해있는 만큼 정부와 여당이 먼저 팔을 걷어붙여야 할 것”이라고 했다.
반면 한국당은 패스트트랙 지정 철회를 촉구했다. 김정재 한국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구두논평을 통해 “여당의 입장이 전혀 달라지지 않고 있다. 민생을 챙기기 위해서라도 민주당은 패스트트랙을 철회하고 사과해야 한다”면서 “재난 복구를 위한 예산을 빨리 집행하자”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