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한상희기자] 서울 노원구에 에너지 비용을 연간 약 97만 원 절약할 수 있는 국내 첫 ‘제로에너지’ 공동주택이 준공했다.
국토교통부와 노원구는 7일 오전 서울시 노원구 에너지 제로주택(이하 EZ house)에서 ‘노원 제로에너지 실증 단지 오픈하우스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오전 서울 노원구 ‘노원 에너지제로(EZ) 주택 오픈하우스’를 방문해 홍보관 관람에 앞서 백운규 산업부장관(왼쪽),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오른쪽), 입주민 대표 등과 동그라미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노원 ‘EZ house’는 기후변화 문제 대응을 위해 국토부가 집중 육성하고 있는 에너지 자립주택이다.
제로에너지 주택의 최대 장점은 단열과 기밀 등에 패시브 설계기술을 이용해 적은 에너지로도 쾌적한 생활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태양광이나 지열 시스템 등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에너지 비용을 제로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론 주택 내·외부에 외단열, 고기밀구조, 3중 로이유리, 외부 블라인드 등 단열 성능을 극대화하는 패시브 설계 기술을 적용해 약 61%의 에너지 요구량을 절감했다.
또한 열 회수형 환기장치, 최적 제어설비 등 고효율 설비 활용으로 약 13% 에너지도 추가로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 |
건축물일체형 태양광 전지판. |
동시에 태양광 전지판, 지열 히트펌프 등의 재생에너지 기술을 통해 약 33%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어 결과적으로 약 7%의 잉여 에너지가 발생해 입주민은 화석연료 사용 없이 난방·냉방·급탕·조명·환기 등 기본적인 주거 활동이 가능하다.
국토부는 노원 ‘EZ house’에 대해 겨울철은 20도, 여름철은 26도로 항온 상태를 유지하는 조건으로 모의실험한 결과, 동일 규모의 2009년 기준주택 보다 난방, 냉방, 온수, 조명, 환기에 연간 약 97만 원 수준의 에너지 비용이 절감됐다고 설명했다.
![]() |
이곳 입주민은 각 세대별로 취사 및 가전제품에 대한 전기에너지와 단지 내 주차장, 엘리베이터 등 공용부분에 대한 전기에너지 비용으로 월 2만 7000원 정도만 부담하면 된다.
이에 따라 냉난방 비용 부담 없이 항상 쾌적한 온도에서 주거 생활이 가능하다. 환기 또한 비용 부담 없이 중앙장치 내 헤파 필터에서 미세먼지를 제거하여 한층 개선된 주거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노원 ‘EZ house’는 전 세대가 임대주택으로 공급되고 있어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신혼부부 등에게 주거 안정의 디딤돌로 자리 잡을 예정이다.
실제 노원 ‘EZ house’는 신혼부부 100세대, 고령자 12세대, 협동조합세대, 모니터링 세대 등 총 121세대로 구성돼 있다. 아울러 서울 시내 지하철 역세권에 위치하면서도 월 13만 7230~20만 7760원 수준의 저렴한 임대료(최대 임대보증금 기준)로 제공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연구개발을 통해 제로에너지주택 최적화 모델을 실증한 노원 ‘EZ house’가 향후 2025년 제로에너지 주택이 실현되는 데 밑거름이 될 것”이라면서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에너지 성능과 쾌적성 등을 검증하고 제로에너지 주택이 보급될 수 있도록 제도개선 등을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