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한상희기자) 서울역 일대에서 17년 째 노숙을 했던 문00(남,56세)씨는 폭음을 일삼아 몇 년 전부터
간경화를 앓아왔다. 시설 상담소 직원들의 도움으로 병원에서 복수를 빼는 치료를 받고 상태가 호전되기
도 했지만 다시 폭음을 하는 생활을 반복하다보니 최근에는 황달증세까지 나타났다.
특히 요즘같이 폭염이 기승을 부릴 때 문 씨의 건강상태는 더 악화된다. 이런 문 씨는 얼마 전부터 무더위
를 피할 수 있는 임시주거에서 생활하고 병원치료도 받고 있다. 헤어졌던 딸과도 다시 만나게 됐다.
서울시에서 6~9월까지 운영하는 '노숙인 여름철 특별대책반'의 도움 덕분이다.
올해 첫 폭염경보가 작년보다 보름 가량 일찍 발효된 가운데 서울시가 ‘노숙인 여름철 특별보호대책’을
가동, 지난 두달 동안 54명의 특별대책반이 거리를 일일이 순찰하면서 무더위쉼터 안내, 병원이송 등 약
2만 건(중복포함)의 구호조치를 실시했다.
시는 폭염에 취약한 노숙인들이 여름을 무사히 날 수 있도록 6월부터 9월
까지 ‘노숙인 여름철 특별보호대책’ 기간으로 정해 관리하고 있다. 특히 7~8
월은 중점관리기간으로 날씨 상황에 맞춰 필요한 경우 거리순찰 횟수를 더
늘릴 계획이다. 54명의 특별대책반은 노숙인 시설 및 자치구 상담반 직원
으로 구성된다.
폭염경보는 일 최고기온이 35℃도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내려진다. 서울에는 7월 20일에 첫 폭염경보가 발효됐다.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서울시의 지원을 받은 거리 노숙인 수는 일부 항목별로 적게는 15건
부터 많게는 약 250건까지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무더위쉼터 이용(일 평균 957→1,204명) ▴샤워실 이용(일 평균438→509명) ▴시설입소(109→
124건) ▴의료지원(417→522명) 분야에서 늘어났다.
그 밖에 ▴거리순찰 상담(6,637건) ▴구호물품 지원(10,071건) ▴병원연계, 임시주거 지원 등 건강취약계층
관리(65건) ▴차량 이동목욕 서비스 이용(일 평균 20건)등의 지원이 이뤄졌다.
서울시는 남은 특별대책보호기간에도 ①거리순찰 및 상담 ②무더위 쉼터 및 샤워실 이용 ③차량 이동
목욕서비스 이용 ④건강 취약자 특별관리 ⑤식중독 예방 교육 ⑥위기대응콜 24시간 운영, 이렇게 6개
분야 대책을 가동해 노숙인들의 안전한 여름나기를 꼼꼼하게 지원해나갈 계획이다.
첫째, 노숙인들이 밀집한 서울역, 영등포역 인근의 거리순찰을 1일 4~6회 실시한다. 거리순찰 시 상담을 통해 병물 아리수, 식염 포도당, 모기약, 냉음료 등 구호물품을 제공한다. 건강에 문제가 있는 노숙인을 발견할 경우 경찰‧119와 연계해 병원에 이송하는 등의 조치를 취한다.
둘째, 각 권역별로 있는 노숙인 시설 16개소를 무더위쉼터로 지정해 노숙인들이 더위를 피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무더위쉼터에 있는 샤워실도 기존 오후 6~8시 운영시간을 밤 10시까지 연장 운영한다.
무더위쉼터 운영현황 :
구분 | 계 | 밀집지역 | 기타지역 | |||
소계 | 서울역 | 시청·을지로 | 영등포역 | |||
쉼터 수(개소) | 16 | 10 | 6 | 1 | 3 | 6 |
동시 최대 이용규모(명) | 930 | 810 | 470 | 60 | 280 | 120 |
1일평균 이용현황(명) | 1,204 | 1,115 | 616 | 213 | 286 | 89 |
1일 평균 샤워실 이용현황(명) | 509 | 498 | 362 | 42 | 94 | 11 |
※ 서울역 응급대피소 무더위쉼터 2실 중 1실은 거리노숙인 주간 공동작업장으로 활용
※ 노숙인 무더위쉼터 세부현황 별첨 참고자료 1 참조
※ 샤워실 운영
- 서울역 희망지원센터 : 24시간 운영
- 영등포역 옹달샘 일시보호시설 : 주 7일 05:00~22:00 운영
- 영등포 희망지원센터 : 주 7일 09:00~22:00 운영
셋째, 노숙인 시설이 부족한 강남권역과 영등포역에는 차량 이동목욕서비스를 운영해 노숙인들이 청결하게 지낼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차량 이동목욕서비스 운영
- 강남권역(시외버스터미널) : 주 1회(화) 20:30 ~ 22:30, 서영사랑나눔·거리의천사들·다시서기종합지원센터 운영
- 영등포역 : 주 3회(월, 수, 금) 13:00 ~ 18:00, 영등포구 운영
넷째, 고령‧중증질환자 등 건강 취약계층 노숙인 명단(8월 현재 84명)은 별도로 관리해 치료‧시설입소 등을 우선 지원한다. 이를 원치않는 노숙인에게는 임시주거를 지원하는 등의 특별관리를 한다.
다섯째, 여름철 발생률이 높은 식중독에도 철저하게 대비한다. 노숙인 시설과 서울역 노숙인 무료급식소 ‘따스한 채움터’를 이용하는 노숙인들을 대상으로 식중독 예방교육을 실시한다. 16개 노숙인 시설에는 손 소독제를 비치하고 식중독 예방 매뉴얼을 배포‧완료했다.
‘따스한 채움터’에서 급식을 제공하고 있는 20개 단체에도 식중독 관리 매뉴얼을 배포하고 식기류 살균, 음식물 제조 위생 관리를 당부하는 등 식중독 예방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여섯째, 노숙인 위기대응콜(1600-9582)을 24시간 가동시킨다. 언제 어디서나 구호가 필요한 노숙인들을 발견하는 즉시 대응한다.
윤순용 서울시 자활지원과장은 “54명의 특별대책반이 거리를 순찰하면서 폭염 속 위험에 노출된 노숙인이 없는지 꼼꼼히 살피고 각 개인에게 필요한 조치를 즉각적으로 연계하고 있다”며, “앞으로 9월까지 남은 특별보호대책 기간동안 긴장을 늦추지 않고 노숙인 지원에 만전을 기해 폭염피해를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