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김명성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원장 정창림)은 지난 10월 27일(월)부터 31일(금)까지 5일간, 부산 파크하얏트 호텔에서 2025년 전자파 인체노출량 평가 분야 국제표준화 회의인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전자파 인체 노출량 평가(TC106*) 총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TC106은 휴대전화, 기지국, 가전제품, 무선 전력 전송(WPT) 등의 전자파 인체노출량 측정방법 국제표준을 개발하는 국제전기기술위원회 산하 기술위원회로서, 총회는 매년 1회 개최
이번 총회는 국립전파연구원이 주최하고,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가 주관하여 진행하였으며, 미국, 일본, 프랑스, 독일 등 40여개 나라의 정부기관과 관련 전문가 등 약 80여 명이 참여하였다. 참가자들은 각국의 전자파 인체노출량 측정 연구성과와 최신 기술 동향을 폭넓게 공유하고, 전자파 인체보호의 과학적 기반 강화 및 미래 기술혁신과 산업 발전을 뒷받침할 국제 표준 마련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
또한, 최근 5세대 이동통신·6세대 이동통신 등 고주파 무선기술 확산이 예상됨에 따라, 고주파수 대역에서 전자파 인체노출을 보다 신뢰성 있게 측정하기 위한 국제 연구성과가 공유되어 국제적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특히, 국립전파연구원에서는 3.5기가 헤르츠(GHz) 및 28기가 헤르츠(GHz) 5세대 이동통신 기지국의 전자파 최댓값을 찾는 새로운 전자파 측정방법을 개발하여 국제 전기기술위원회 전자파 인체 노출량 평가(IEC TC106) 국제표준에 최종 반영하였다.
이번에 반영된 측정방법은 2022년 9월에 개발하여 국제전기기술위원회 전문가 의견 검증과 생체전자기학 학회(BioEM)* 등 국제학회 논문발표·게재로 객관적으로 신뢰성을 검증하여 이번 회의에서 국제표준에 최종 반영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 BioEM(BioElectroMagnetics) : 생체전자기학 분야의 세계 최고 권위가 있는 국제학회(전자파 생체 및 인체영향 연구결과 교류의 장)
또한, 우리나라에서 개발하고 있는 광 감지기(광센서)를 이용한 전자파 인체노출량 평가방법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해당 기술을 통해 6세대 이동통신 등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기존 금속 소재 기반의 측정기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측정 오차를 최소화하는 등 측정성능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이외에 휴대전화의 시간 평균 전자파 측정방법, 기지국의 실제 운영 출력 평가방법, 무선전력전송 기술의 전자파 인체노출량 평가방법 등에 대한 논의도 진행되었다.
국립전파연구원 정창림 원장은 “앞으로도 6세대 이동통신(6G) 등 신기술 적용에 대비하여 새로운 전자파 평가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표준 분야에서 세계 선도를 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