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이용진기자]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조훈현 의원(자유한국당, 비례대표)이 문화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자연재해로 인한 문화재 피해는 166건으로 피해복구 지원액은 94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5년부터 2019년 8월까지 가장 눈에 띄는 자연재해는 지진으로 2016년 경주지진, 2017년 포항지진 당시 63건의 문화재 피해가 발생하여 약 30억 원에 달하는 국고가 투입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근 5년간 재난유형별 문화재피해복구비 지원 현황>
재난유형 | 피해유형 | 지원액 | ||
총계(건) | 비중(%) | 지원액(백만원) | 비중(%) | |
지진 | 63 | 38 | 3,008 | 31.8 |
호우 | 58 | 34.9 | 3,756 | 39.6 |
태풍 및 강풍 | 22 | 13.3 | 886 | 9.3 |
폭설로 인한 해빙(*동해) 등 | 16 | 9.6 | 1,585 | 16.7 |
화재(산불) | 7 | 4.2 | 248 | 2.6 |
합계 | 166 | 100 | 9,483 | 100 |
*동해(凍害) = 농작물 따위가 추위로 입는 피해. ‘언 피해’로 순화.
출처 : 문화재청 자료제출본
문화재 피해유형별 현황을 살펴보면 △지진(63건, 38%) △집중호우(58건, 34.9%) △태풍 및 강풍(22건, 13.3%) △해빙 등(16건, 9.6%) △화재(산불)(7건, 4.2%) 순으로 피해가 발생하였고, 지원액은 △집중호우(37억5천6백만원, 39.6%) △지진(30억8백만원, 31.8%) △해빙 등(15억8천5백만원, 16.7%) △태풍 및 강풍(8억8천6백, 9.3%) △화재(2억4천8백, 2.6%)순으로 자연재해로 인한 문화재복구에 막대한 예산이 투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지역별 재난문화재 현황을 보면 △경북 △경남에 문화재 피해수가 86건에 달해 전체 문화재 피해건수 대비 51.9%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외 △제주 9.1%, △전남 9.0% 순으로 피해가 확인되어 남부 해안지역에 대한 세심한 관리가 요구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지역별 문화재 피해 현황 및 지원액(2015∼2019.8)>
시·도 | 문화재 총수 | 문화재 피해수 | 지원액 | |||
총 건수 | 비율 | 피해문화재 | 비율(%) | 금액 (백만원) | 비율(%) | |
서울특별시 | 1,243 | 26.2 | 7 | 4.2 | 414 | 4.4 |
부산광역시 | 96 | 2.0 | 3 | 1.8 | 77 | 0.8 |
대구광역시 | 104 | 2.2 | 2 | 1.2 | 0 | 0 |
인천광역시 | 75 | 1.6 | 0 | 0 | 0 | 0 |
울산광역시 | 26 | 0.5 | 2 | 1.2 | 0 | 0 |
대전광역시 | 39 | 0.8 | 0 | 0 | 0 | 0 |
광주광역시 | 44 | 0.9 | 0 | 0 | 0 | 0 |
경기도 | 390 | 8.2 | 11 | 6.6 | 550 | 5.8 |
강원도 | 235 | 4.9 | 5 | 3.0 | 362 | 3.8 |
충청북도 | 212 | 4.5 | 9 | 5.4 | 857 | 9.0 |
충청남도 | 319 | 6.7 | 4 | 2.4 | 545 | 5.8 |
전라북도 | 280 | 5.9 | 7 | 4.2 | 325 | 3.4 |
전라남도 | 493 | 10.4 | 15 | 9.0 | 862 | 9.1 |
경상북도 | 731 | 15.4 | 66 | 39.8 | 3,503 | 36.9 |
경상남도 | 353 | 7.4 | 20 | 12.1 | 1,317 | 13.9 |
제주특별자치도 | 109 | 2.3 | 15 | 9.0 | 671 | 7.1 |
세종특별자치시 | 5 | 0.1 | 0 | 0 | 0 | 0 |
합계 | 4,754 | 100 | 166 | 99.9 | 9,483 | 100 |
출처 : 문화재청 자료제출본
이에 조훈현 의원(자유한국당, 비례대표)은“현행 문화재보호기금법에 따르면 재해 발생시 훼손·유실 등에 따른 긴급보수나 복원만 사용이 가능하고, 정작 문화재에 필요한 재해예방사업에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며 “문화재 특성상 자연재해로 인해 피해가 발생하면 완전한 복구가 힘든 만큼 예방에 대한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력하게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