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국회

소외가구, 전체가구의 15.7% 차지

독거노인, 조손가구, 한부모가구, 미혼모(부)가구 총 3,126,269가구

[한국방송/이용진기자] 가족해체, 저출산 등 고령화 시대에 따른 소외가구가 전체가구 대비 15.7% 3,126,269가구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음.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장정숙의원이 통계청과 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독거노인가구, 한부모가구, 조손가구, 미혼모가구 등 소외가구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이들에 대한 복지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음.


         작년 기준으로 독거노인가구는 1444,588가구, 조손가구는 113,297가구, 한부모가구1539 ,362가구, 미혼모() 가구는 29,022가구였음. 3126,269가구로 전체가구 1,9979,188가구15.7%를 차지함.


[1] 65세이상1인가구, 조부()+미혼손자녀가구, 한부모가구, 미혼모()가구 현황


 

2015

2016

2017

2018

일반가구A)

19,111,030

19,367,696

19,673,875

19,979,188

소계(B)

-

2,976,670

3,047,195

3,126,269

비율(B/A)

-

15.36

15.48

15.65

 

65세이상1인가구

1,223,169

1,294,453

1,370,962

1,444,588

 

조부()+미혼손자녀 가구()3)

113,111

109,241

112,578

113,297

 

조부모+미혼손자녀 가구

43,314

42,819

44,558

44,766

 

조부 또는 조모+미혼손자녀 가구

69,797

66,422

68,020

68,531

 

한부모 가구()4)

-

1,539,868

1,533,166

1,539,362

 

+미혼자녀 가구

-

281,680

281,227

283,293

 

+미혼자녀 가구

-

950,867

952,059

962,894

 

+미혼자녀+기타가구원 가구

-

114,092

111,225

108,141

 

+미혼자녀+기타가구원 가구

-

193,229

188,655

185,034

미혼모, 미혼부 가구

35,088

33,108

30,489

29,022



 


























1)전체는 일반가구로 외국인가구, 집단가구(가족관계가 아닌 6인이상 가구 및 사회시설에 집단으로 있는 가구) 및 특별조사구를 제외



2) 소계는 65세이상 1인가구, 조부()+미혼손자녀가구, 한부모가구, 미혼모, 미혼부 가구의 합계임


3) 대구성별 가구(일반가구)에서 조부모와 미혼손자녀, 조부 또는 조모와 미혼손자녀가 함께 사는 가


4) 한부모가구(한부모의 법적인 혼인상태가 미혼, 이혼 및 사별이며 미혼자녀와 함께 거주하고 있는 일반가구)혼모가구 등을

포함하며, 2016년부터 생산하여 제공 중임

출처: 통계청, 복지부, 장정숙 의원실 재구성


또한 이혼·사별에 의한 한부모가구, 65세이상 1인가구의 추이 및 구성비를 살펴보니 2025년는 341147명으로 전체가구의 16.2%를 

지하였음하지만 20년 뒤인 2045년에는 515만 18으로 전체가구의 23.1%나 차지하였음이는 고령화 사회로 인해 독거노인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기 때문임.

 

[2]이혼·사별에 의한 한부모가구, 65세이상 1인가구의 추이 및 구성비


(단위: 가구, %)

 

2025

2030

2035

2040

2045

전체 가구수

21,013,656

21,640,586

22,067,468

22,306,364

22,317,526

 

65세이상 1인가구

1,990,184

2,489,232

3,003,178

3,459,344

3,718,534

구성비

9.5

11.5

13.6

15.5

16.7

()+미혼자녀

1,419,963

1,443,269

1,452,644

1,449,405

1,431,484

구성비

6.8

6.7

6.6

6.5

6.4

 

+미혼자녀

319,640

320,231

317,674

312,387

304,050

구성비

1.5

1.5

1.4

1.4

1.4

+미혼자녀

1,100,323

1,123,038

1,134,970

1,137,018

1,127,434

구성비

5.2

5.2

5.1

5.1

5.1

소외가정 가구수 및 비율

3,410,147

3,932,501

4,455,822

4,908,749

5,150,018

16.2

18.2

20.2

22.0

23.1

* 65세이상 1인가구는 KOSIS 제공, 이혼사별에 의한 한부모가구는 보도자료 제공자료임

출처: 통계청, 복지부, 장정숙 의원실 재구성

 

이에 대해 장정숙 의원은 대한민국 경제가 회생의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가족해체 현상도 증가 하면서 소외가구가 있다초고령화 

대에 노인가구들은 늘어날 수 밖에 없다고 밝혔음.


장의원은 이렇게 늘어나는 소외가정은 노인문제, 아동문제, 교육문제, 가족문제 등 복합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어 정부도 입체

적인 시각 하에 정책을 설계하고 준비되어야 할 것이고 강조했음.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