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뉴스/송인용기자) 국토교통부는 10일 오후 4시 김해 신공항 예비타당성조사 용역 결과를 발표하였다. 경제성 분석인 B/C는 0.94, 정책성 분석인 AHP*는 0.507로 김해 신공항 추진에 타당성이 확보됨에 따라 공항개발 기본계획 수립과 동시에 ‘소음조사 및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도 추진하여, 공항주변지역에서 발생하는 공항 소음을 비롯한 환경 피해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임을 밝혔다.
* AHP 분석은 경제성, 정책성, 지역균형발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사업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으로, AHP 0.5 이상이면 사업 타당성이 확보된 것을 의미함
사업비는 당초 ADPi안인 4조 1,700억원보다 1조 7,900억원이 증가한 5조 9,600억원을 투자하여 연 3,800만명 처리를 위한 활주로, 국제선 터미널, 계류장, 도로·철도 등을 건설하게 된다.
또한, 공항시설비는 당초 3조5,673억원에서 1조3,427억원이 증가한 4조9,100억원으로서 김해 신공항은 영남권 관문공항으로서 영남권 주민들이 보다 편리한 항공서비스를 제공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 (향후일정) ‘17년 기본계획 → ’18~‘20년 기본 및 실시설계 → ’21~‘25년 본공사 시행 → ’25년 종합시운전 → ‘26년 개항
이에 경남도는 국토교통부의 기본계획 수립 단계에서 김해 신공항 후속대책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활주로 3.8km 연장, 동대구~밀양~신공항 KTX 건설, 항공기 소음피해 대책 및 김해 가야 스마트에어시티 개발 주변지역 발전 방안 등이 반영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경주할 것임을 밝혔다.
‘김해신공항’은 ‘영남권 신공항’에 대한 영남 5개 지자체 간 합의 내용에 따라 세계적인 공항 엔지니어링업체(ADPi)가 사전타당성검토 용역을 시행한 결과, 최적 대안으로 채택되어 지난 지난해 7월부터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약 9개월 간 예비타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