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모의훈련은 페스트 의심환자가 입국 후 양성 환자로 판정되는 상황을 가정한 것으로 질병관리본부, 충남도청,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 운영병원의 공조체계를 통해 생물테러에 대한 대비 역량을 강화하고 비상상황 발생의 대응 태세를 정비하기 위해 시행됐다.
이날 훈련에서는 보건소 대응요원의 초동 조치, 개인 보호복 착·탈의 시연 등이 실제 상황과 같이 진행됐다.
페스트는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매년 다수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제4군 법정 감염병이자 생물테러 감염병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감염 경로로는 감염된 쥐벼룩에 물리거나 감염된 동물 또는 동물사체를 접촉해 발생하는 자연 발생 감염과 페스트 환자가 배출하는 고름 등 화농성분비물에 직접 접촉하거나 호흡기 비말을 통해 발생하는 사람 간 전파가 있다.
최근 국외 유입을 통한 국내 발생과 전파의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초기에 환자관리 대응이 매우 중요한 실정이다.
보건소 관계자는 “이번 모의훈련을 통해 생물테러로 인한 환자 발생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을 숙지하고 유사시 생물테러로부터 지역사회의 집단 감염을 예방하고 주민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대응 체계를 마련할 수 있었다” 며 “유관기관과의 생물테러 대응 협업체계를 강화하고 생물테러 비상 상황에 대한 대응 능력을 향상시켜 건강하고 안전한 예산군 만들기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