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진승백기자] 청와대가 남북공동선언 이행추진위원회(위원장 임종석 대통령비서실장) 1차 회의를 열고 연내 동·서해선 철도와 도로 착공식을 열기 위한 현지조사를 다음달 중에 착수하기로 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28일 이행위 회의 후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기존 △남북관계 발전 △비핵화 △소통홍보 등 세개 분과에 △군비통제 분과위원회를 신설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군비통제 분과위는 서주석 국방 차관이 분과장을 맡고 최종건 청와대 평화군비통제비서관이 간사를 맡았다. 이에 대해 김 대변인은 “평양공동선언의 군사 분야와 관련, 굉장히 포괄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이 들어있어 이를 속도감 있고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 만든 분과”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행위는 평양공동선언을 속도감 있게 이행해 △남북관계를 새로운 높은 단계로 도약 △남북정상회담의 성과를 북미 비핵화 협상의 진전으로 연결 △이행과정에서 국민적 합의를 강화 및 국제사회의 지지 확대 등 세 가지 기본방향 아래서 후속조처를 마련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연내 동·서해선 철도와 도로 착공식을 위해 10월 중 현지조사가 착수돼야 하는 만큼 유엔사와 협의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해 김 대변인은 “문재인 대통령의 유엔총회 기조연설,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큰 줄기가 잡혀있기 때문에 실무적인 협상과 협의도 원활하게 추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다만 한미회담에서 이 문제가 포괄적으로라도 다뤄졌느냐는 질문에는 “구체적으로 언급하기 어렵다”고 했고, 대북제재가 장애물이 되지 않겠냐는 질문에도 “그렇다”고 했다.
또 2020년 도쿄올림픽 진출을 위한 예선전부터 남북이 같이 참가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북과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2032년 하계올림픽 남북공동유치와 관련해서도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정식안건으로 조기상정, 이 문제를 빨리 매듭짓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오는 12월 4일부터 국립중앙박물관이 ‘대고려전’을 여는 가운데 북측에서 소장하고 있는 문화재를 받아 전시하는 방안과 관련해서도 공동연락사무소나 문서협의를 통해 논의를 진행하기로 했다.
이밖에 10월 중 적십자회담을 통해 이산가족 면회소를 상시적으로 운영하고, 화상상봉과 영상편지를 교환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협의해나가기로 했다.
더불어 정경두 국방부 장관도 이날 이행위 회의에 참석한 가운데 비무장지대(DMZ) 내 감시초소(GP) 철수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한편 청와대는 기존 ‘판문점선언 이행추진위원회’의 명칭을 이날부터 ‘남북공동선언 이행추진위원회’로 바꿨다. 이에 대해 김 대변인은 “판문점선언과 평양공동선언을 모두 포괄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남북공동선언’이라고 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연내 서울에 방문하기로 한 상황에서 만일 ‘서울공동선언’이 나올 경우 이행위의 이름을 또 바꿔야 한다는 실무적 고민도 고려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