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진승백기자] 경찰청(청장 직무대행 유재성)에서는 “최근 5년간(2020~2024년) 졸음운전 교통사고를 분석한 결과, 8월에 졸음운전 사망자가 제일 많아 각별한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경찰청 교통사고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2024년) 졸음운전 교통사고는 9,559건, 사망자는 252명이다, 이 중 8월에 발생한 사망자는 36명(14.3%)으로 월별 최다 수준으로 관측되었다.
졸음운전은 일반 사고보다 교통사고 100건당 사망자 수인 치사율이 높은 특징이 있는데, 8월은 4.13명으로 월별 치사율도 가장 높다.
※ 8월 졸음운전 치사율 4.13명은 기타사고 1.47명보다 약 3배 가까이 됨(+180.4% 높음)
졸음운전 교통사고 추세(2020~2024년) 치사율 비교(졸음운전-졸음운전 외)
8월 졸음운전 치사율을 도로 종류별로 분석하면 고속국도는 10.81명, 일반국도(6.55명), 지방도(4.04명), 특별‧광역시도(0.86명) 수준으로 속도가 높은 도로일수록 치사율이 높다. 고속주행 시에 졸음운전이 매우 위험하므로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8월 졸음운전으로 인한 사망사고 가해운전자(34명)의 연령대는 60~69세 10명(29.4%), 30~39세 7명(20.6%) 순이며, 이 중 65세 이상 고령운전자는 11명(32.4%)으로 체력이 저하된 고령운전자가 졸음운전에서도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졸음운전은 운전자의 인지능력과 반응시간이 저하되어 잠깐의 방심이 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운전자는 졸음운전 예방을 위해 예방 수칙을 사전에 확인해야 한다.
먼저, 운전자는 출발 전 충분한 수면이 필수적이며, 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특히, 도로 형태가 단조로운 구간은 졸음운전 발생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운전자가 졸음을 인지하면 차를 안전한 곳에 세우고 중간휴식이 필요하다.
※ 도로 형태별: 8월 졸음운전 사망자(36명) 중 단일로가 83.3%(30명)로 최다
또한, 동승자 없이 단독 운전하는 경우에 졸음이 더 쉽게 찾아올 수 있다. 이런 경우, 노래를 듣거나 주기적인 환기, 적절한 카페인 음료 섭취는 졸음운전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다.
※ 카페인은 일시적 각성 효과로 운전자의 집중력을 높일 수 있음
그리고 동승자가 탑승한 경우, 운전자와 가벼운 대화는 지속적인 자극으로 운전 중 단조로움을 완화하여 졸음운전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경찰청 생활안전국장(치안감 한창훈)은 “8월은 고온다습하고 휴가철 장거리 운전으로 졸음운전이 우려됩니다. 운전자는 충분한 휴식과 수면 등 졸음운전 예방 안전 수칙을 사전에 숙지하고 도로 위 교통안전을 준수해 주시기 바란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