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노동법, AI가 32개 언어로 24시간 상담해준다

  • 등록 2025.09.05 16:43:02
크게보기

노동부, 무료 '인공지능 노동법 상담' 온라인 서비스 개시
'당근 앱'서도 가능…개인정보 유출 우려 없이 안전 이용
고용노동부

[한국방송/문종덕기자] 앞으로 임금, 근로시간, 실업급여 등의 노동법에 대해 인공지능(AI)이 32개 언어로 24시간 맞춤형 무료 상담을 진행한다. 

 

근로감독관의 신속하고 정확한 사건 처리를 돕는 근로감독 인공지능(AI) 비서가 사건자료 분석, 조사 질문지 구성, 수사보고서 작성 등 노동사건 처리 전반을 보조한다. 

 

고용노동부는 5일 개최한 '고용노동행정 인공지능 대전환 회의(AX Summit)'에서 이같은 인공지능 노동법 상담과 근로감독 인공지능 비서 운영을 개시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노동자, 사업주, 산업계 리더, 공인노무사, 근로감독관 등 다양한 참석자와 함께 일하는 모든 사람이 존중받고 안전한 일터를 만들기 위한 고용노동행정의 인공지능 대전환(AX) 방안에 관해서도 논의했다.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찾은 구직자들이 실업급여 상담을 기다리고 있다. 2024.7.16 (ⓒ뉴스1)


인공지능 노동법 상담은 누구나 해당 누리집(https://ai.moel.go.kr)에 접속하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이는 노동부가 지난해 (주)마음AI와 함께 과기정통부의 초거대 AI 서비스 개발 지원 사업에 참여해 이같은 인공지능 노동법 상담 시제품을 개발한 것이다. 

 

특히 지난 3월에는 한국공인노무사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공인노무사 173명으로 구성한 지원단의 전문적인 감수로 답변의 정확도를 높였고, 외국인 노동자를 위해 32개 언어를 지원하도록 개선했다.

 

아울러 4000만 명 이상의 가입자를 보유한 '당근마켓'에서 노동부에 제휴를 요청해 '당근알바(당근마켓 내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를 사용하는 구직자와 영세사업주가 당근 앱에서 바로 인공지능 노동법 상담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근로감독 인공지능 비서는 챗지피티(ChatGPT) 등 외부 서버에서 운영하는 인공지능과 달리 노동부가 삼성SDS와 함께 설계한 안전한 노동부 전용 클라우드 내에서만 작동한다. 

 

이에 노동사건 수사와 같이 보안성과 안정성이 요구되는 작업을 개인정보 유출 우려 없이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 노동행정 인공지능 서비스 구축을 주도한 사미텍 이형용 최고기술책임자가 직접 서비스를 시연하면서 공인노무사팀과 협업해 기술적 도전을 어떻게 극복했는지 설명했다.

 

이와 함께 김정욱 삼성SDS 상무는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활용한 작업환경 위험성 평가와 작업계획서 작성 등의 사례를 제시했다. 

 

(주)당근마켓의 백병한 당근알바 총괄리드는 구인구직 시장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혁신해 인공지능 서비스의 체감도를 높이기 위한 플랫폼 기업의 다양한 노력을 전했다.

 

더불어 미국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alantir Technologies)와의 협동 프로젝트로 인지도가 높은 KT의 변우철 본부장은 데이터 기반의 건설 산재 예방 사례를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

 

김수경 온톨로지센터장은 고용노동부 인공지능 일자리 매칭 서비스의 근간이 되는 직무 온톨로지의 가치와 발전 가능성에 관해 알기 쉽게 설명했다.

 

이밖에 노동부는 산재 발생 시간·장소·유형 등을 정밀하게 예측하고, 누구나 작업현장 사진을 바탕으로 위험 요소와 대응 방안을 신속하게 파악하도록 돕는 등 산재 예방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 아이디어를 발표했다.

 

김영훈 노동부 장관은 "노동부의 인공지능 대전환은 인력과 예산의 한계를 넘어 일하는 모든 사람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 전문기업, 한국공인노무사회 등과 적극 협업해 인공지능 대전환을 가속화하고, 일하는 모든 사람이 존중받고 안전한 일터를 반드시 만들어내겠다"고 밝혔다. 

 

박기현 한국공인노무사회 회장은 "인공지능 노동법 상담 서비스는 최신 기술과 노무사 173명의 풍부한 상담 경험을 결합해 노동법의 대중화에 기여한 성공적인 민관 협력 모델"이라며 "앞으로도 노동권 보호를 위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전문가 단체로서 역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 AI 노동법 상담 https://ai.moel.go.kr

 

문의 : 고용노동부 노동개혁정책관 노동행정인공지능혁신과(044-202-7878)

문종덕 기자 ipbnews@naver.com
Copyright @2009 한국방송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서울 아 02188, 등록일 2009-07-17, 발행인:이헌양. 대 표:김명성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18길, Tel 02-420-3651
한국방송뉴스(주) © ikbn.news All rights reserved.
한국방송뉴스(주)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