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렵고 복잡한 노동법,생성형 인공지능(AI)이 쉽게 알려드려요

  • 등록 2024.11.13 11:43:06
크게보기

- 2024 대한민국 정부 박람회에서 인공지능(AI) 노동법 지식 검색 등 서비스 4종 공개

[한국방송/김성진기자] 고용노동부(장관 김문수)는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와 행정안전부가 주최하는 2024년 대한민국 정부 박람회에서 근로감독관 인공지능(AI) 지원시스템을 시연한다. 이는 근로감독관이 신고사건과 근로감독을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노동법에 관한 국민의 궁금증을 쉽게 해소해주는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영세사업장 근로자 등 노동약자가 복잡한 노동법을 쉽게 알고 권리를 찾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근로감독관 인공지능(AI) 지원시스템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과기정통부 및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추진하는 「초거대 AI 기반 서비스 개발지원 사업」의 지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이번에 공개되는 서비스 4종은 ①인공지능(AI) 노동법 지식 검색 ②법령·판례·질의회시·매뉴얼 대화형 검색 ③진정서 접수 지원 ④문서와의 대화다. 국민 누구나 왼쪽 큐알(QR) 코드를 스캔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상에서 인공지능(AI) 노동법 지식 검색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다. 참고자료 대화형 검색 등 그 외 서비스는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PC)에서 인터넷 주소 https://labor.maum.ai에 접속하여 써 볼 수 있다.

 

AI 노동법 지식검색

참고자료 대화형 검색

진정서 접수 지원

문서와의 대화

(근로감독관용)

SNS 상에서
노동법 질문에 대해
쉬운 표현으로
맞춤형 답변

대화를 통해 법령, 판례, 질의회시,
매뉴얼 등 노동법
자료를 손쉽고 체계적으로 검색

AI의 질문에
답변하는 방식으로
상세한 내용의
진정서 작성

진술조서 등
다양한 문서의
요약·분석·검색·첨삭 등 지원

 

 

고용노동부는 서비스 개발이 완료되는 12월 중순부터 시범운영을 개시하고 그 결과를 검토하여 추후 정식으로 서비스할 계획이다. 권창준 노동개혁정책관은 “노사법치와 노동약자 보호 정책에 인공지능(AI) 도입을 가속하여 근로감독 등 정책 효과를 높이고 기업의 노동법 준수와 노동약자의 권리 보호를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김성진 기자 Hanba4@naver.com
Copyright @2009 한국방송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서울 아 02188, 등록일 2009-07-17, 발행인:이헌양. 대 표:김명성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18길, Tel 02-420-3651
한국방송뉴스(주) © ikbn.news All rights reserved.
한국방송뉴스(주)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