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류 대표상징 ‘한글’의 가치를 되새기자

  • 등록 2020.10.04 11:20:47
크게보기

574돌 한글날 기념 ‘2020 한글주간’ 문화행사 개최, 정부 포상 수여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 국립한글박물관(관장 심동섭) 함께 574 한글날을 기념해 10 5()부터 11()까지, ‘2020 한글주간행사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2020 글주간 누리집(www.hangeulweek.co.kr)’ 통해 비대면으로 열린다.  함께 전국 국어문화원, 재외 한국문화원, 해외 세종학당 등에서 10 5일부터 우리 국민과 외국인이 한글의 창제 정신과 의미를 되새기고 함께 참여할  있는 다양한 행사들을 마련한다.

 

 코로나19 방역수칙 준수하며, 한글날 기념 공연·전시  온라인 행사 마련

 

‘2020 한글주간 주제는 ‘우리의 한글, 세상의  이다. 이번 주제에 맞는 전시, 공연, 체험, 학술대회  다양한 행사가 비대면(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된다. ▲ 한글날 전야제는 10 8() 오후 6 국립한글박물관에서 열린다. 서의철 가단의 ‘우리글로 듣는 우리 음악공연을 시작으로, ‘세종문화상’, ‘한글 창의산업 아이디어 공모전 ‘국어책임관 실적 우수기관시상식과 ‘한글, 언어의 품격을 말하다 주제로 하는 방송인 정재환, 김창옥, 작가 임솔아 등이 참여하는 ‘이야기 공연 이어진다. ▲ 10 9() 글날에는 574 한글날 경축식과 함께, 한글, 세종대왕 관련 문제 이로 우승자를 가리는 ‘가갸겨루기결선과 ‘아름다운 한글 주제로 예술가 김안식의 그림 공연을 진행한다.

 

이번 ‘2020 한글주간행사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해 다채로운 경험을   있도록 기획했다. 극단 공명의 ‘세종대왕이 꿈꾸던 여민락’, 극단 하땅세의 ‘, , 콧구멍 벌렁벌렁, 붓바람’,사비나미술관의 ‘빅데이터가 사랑한 한글’, ()한글학회의  국어학 술대회’, ()외솔회의 ‘12 집현전 학술대회’, 누리소통망을 통한 참여행사 사랑합니다. 한글’, ‘예쁜 우리 한글 사진전 다양한 공연, 전시, 학술대회, 체험행사가 개최된다.

 

전국 국어문화원 15개소와 미국 로스앤젤레스  재외 한국문화원 47개소, 베트남 하노이 세종학당  세종학당 134개소에서도 한국어 말하기와 쓰기, 한국 전통놀이 체험, 한지 공예  다양한 기념행사를 진행한다.

 

 39 세종문화상 수상자(4), 한글 발전 유공자(10) 정부 포상


39 세종문화상 시상식은 10 8() 오후 6 국립한글박물관에서 열린다. 올해 수상자는 ▲ ‘한국문화부문 조상열 ()대동문화재단 대표, ▲ ‘학술부문 김광언 인하대학교 명예교수, ▲ ‘국제문화교류부문 응우옌반띤 베트남 국가문화예술원 객원교수, ▲ ‘문화다양성부문 ‘아시아인권문화연대이다. 세종문화상은 세종대왕의 위업을 기리고 창조 정신을 계승하고자 1982년에 제정한 대통령 표창으로서, 한국문화 진흥   야에서 뛰어난 공적이 있는 개인단체를 대상으로 수여하는 상이다.

 

10 9() 개최되는 574 한글날 경축식에서는 한글한국어의 전과 보급에 헌신한 분들에게 ‘한글 발전 유공자훈포장  표창을 여한다. 올해 포상 대상은 ▲ ‘보관문화훈장김완진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 ‘화관문화훈장현룡운 중국조선어정보처리학회 이사장, ▲ ‘문화포장차재경 세종대왕기념사업회 부회장, 이봉원 한말글 이름을 사랑하는 사람들 대표, 강재형 문화방송 아나운서, ▲ ‘대통령표창새런 쿼크실바 캘리포니아 하원의원,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 ▲ ‘국무총리표창카렐대학교 한국학과, 박은관 시몬느 대표이사, 라티 자페르 -인도문화정보센터 원장   10이다.

 

 신한류의 대표상징인 한글·한국어 확산 정책 추진

 

문체부는  세계 한류를 즐기는 동호인이 1억여 , 한류로 인한 소비재·관광 수출액이 123 19백만 달러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 맞추어 2021년도 산을 대규모로 확보해 한글·한국어 확산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해외 세종학당을 2022년까지 270개소로 확대하고, 한국어 비대면 학습자도 2022까지 10 명으로 늘리는  우리말과 한글을  세계에 확산하고, 국내에서의 올바른 언어문화 정착을 위해 신문방송인터넷 등에서의 쉬운 우리말 쓰기 기획 사업, 전문용어 정비, 외국어 새말 제공 체계 구축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박양우 장관은 “한글은 신한류의 대표상징이자 무궁무진한 잠재력을 지고 있는 대한민국의 핵심콘텐츠로서, 순수예술, 관광, 건축, 교육, 출판  다양한 산업 분야와 결합해 우리 문화의 가치를 재창조하고, 국제적 력을 키울  있는 문화자원이라며, “건전한 언어문화가 정착되어 글이  세계의 문화유산으로 가치를 빛낼  있도록 함께 힘을 모으자.”라고 밝혔다.

김명성 기자 kms4020@hanmail.net
Copyright @2009 한국방송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서울 아 02188, 등록일 2009-07-17, 발행인:이헌양. 대 표:김명성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18길, Tel 02-420-3651
한국방송뉴스(주) © ikbn.news All rights reserved.
한국방송뉴스(주)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