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오창환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과 16일 이틀 동안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를 개최한다.
한국은 2005년에 이어 20년 만에 APEC 의장국을 맡았다.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이 의장을 맡아 미국·중국·일본·호주·캐나다·칠레 등 아태지역 21개 주요 경제체 통상장관들과 WTO 사무총장, OECD 사무차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통상장관회의는 급변하는 글로벌 통상 환경에서 주요 경제체 통상 분야 장관급이 모이는 첫 다자협력의 장으로 무역·투자 자유화 및 원활화 등 다양한 통상 이슈와 역내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15일 제주 서귀포시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APEC 통상장관회의' 개회식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뉴스1)
산업부는 올해 APEC 정상회의 주제와 연계해 ▲무역원활화를 위한 AI 혁신 ▲다자무역체제를 통한 연결 ▲지속가능한 무역을 통한 번영이라는 주제로 3개 세션을 구성했다.
먼저, 15일 무역 원활화를 위한 AI 혁신 세션에서는 통상 분야에서 AI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관세·통관 행정에서의 AI 활용, AI 표준 정보 공유 등에 대한 의견을 공유했다.
아울러, AI 원칙(OECD Principles on AI) 제정 등 AI 국제 통상 규범화 작업에 선도적 역할을 해온 OECD의 사무차장인 요시키 타케우치(Yoshiki Takeuchi)가 발제했다.
이어서, 이날 다자무역체제를 통한 연결 세션에서는 WTO의 혁신 방안과 다자무역체제 회복을 위한 APEC의 역할 등을 논의했으며, 특히 WTO 사무총장 응고지 오콘조-이웨알라(Ngozi Okonjo-Iweala)가 발제자로서 WTO 개혁과 다자무역체제의 미래를 위한 협력 방향 등에 대해 발표했다.
또한, 16일 진행하는 지속가능한 무역을 통한 번영이라는 세션에서는 안정적인 공급망뿐만 아니라 기후 위기 대응 등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위한 공조 방안을 논의한다.
세계 최대 경제협력체인 APEC은 그동안 글로벌경제의 중심축으로 역할을 해왔다.
1989년 각료회의로 출범해 1993년부터 정상회의로 격상돼 30년이 넘는 기간에 역내 무역·투자 자유화와 원활화 측면에서 많은 성과를 창출했다.
통상장관회의에서 도출된 협력 방안이 이러한 성과의 밑거름이 됐다.
산업부는 최근 전례 없는 글로벌 통상 여건 하에서도 진일보한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이번 성과가 올해 하반기에 있을 정상회의에까지 연계될 수 있도록 힘을 쏟기로 했다.
또한, 대한상의 등 민간과 협력해 정상회의 주간 APEC 경제인 행사를 알차게 준비해 글로벌 경제인 간의 교류와 협력의 장을 마련할 계획이다.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15일 제주 서귀포시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APEC 통상장관회의' 개회식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뉴스1)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은 개회사에서 "APEC을 둘러싼 대외환경이 녹록지 않으며 엄중한 글로벌 통상 환경을 고려했을 때 그 어느 때보다 APEC의 역할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다자무역체제가 시험대에 오른 오늘날 이번 회의 논의 결과가 세계에 큰 울림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오늘 통상장관회의가 세계가 당면한 정치적, 경제적 갈등과 불확실성 해소에 도움이 되는 소통과 협력의 플랫폼이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문의: 산업통상자원부 다자통상협력과(044-203-5936), 세계무역기구과(044-203-5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