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드기 매개 감염병, 10~11월에 전체 80%이상 집중 발생 … 도, 주의당부

  • 등록 2018.09.30 15:14:10
크게보기

도 보건환경연구원, 진드기 매개 감염병 야외 활동시 주의당부
- 야외 활동 늘어나는 가을철에 환자발생 집중
- 증상이 빠르게 진행되고 백신이 없어 야외활동에 주의

[경기/박성철기자]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10월부터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쯔쯔가무시증 등의 진드기 매개 감염병이 증가한다며 이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발생한 주요 진드기 매개감염병의 80% 이상이 10월부터 11월에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2015년에는 연간 주요 진드기 매개감염병 환자 9,592명의 88.7%8,512명이, 2016년에는 전체 11,270명의 82.8%9,339명이, 2017년에는 전체 1800명의 82.1%8,874명이 10월과 11월에 발생했다.

경기도에서도 역시 2015년에는 연간 주요 진드기 매개감염병 환자 820명의 87.3%716명이, 2016년에는 전체 1,001명의 74.8%749명이, 2017년에는 전체 780명의 80.6%629명이 10월과 11월에 발생했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10월과 11월 나들이, 단풍구경 등 야외 활동이 늘어나면서 진드기 매개감염병도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윤미혜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장은 진드기매개 감염병은 현재 백신이 없는 관계로 야외 활동 후 발열, 설사, 구토 등 소화기 증상, 전신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반드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진드기 매개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야외활동시 곤충기피제 사용, 긴팔·긴바지 착용, 야외활동 후 즉시 샤워 등이 좋다고 조언했다.

진드기매개 감염병의 공통적인 증상은 고열, 구토, 두통, 소화기증상 등이다. 경기도에서는 2017년 쯔쯔가무시증으로 724명의 환자가 발생했으며 3명이 사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으로 56명의 환자가 발생했으며 16명이 사망했다.

박성철 기자 psc4419@naver.com
Copyright @2009 한국방송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서울 아 02188, 등록일 2009-07-17, 발행인:이헌양. 대 표:김명성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18길, Tel 02-420-3651
한국방송뉴스(주) © ikbn.news All rights reserved.
한국방송뉴스(주)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