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택시 승차거부 93% 처분… 첫 '삼진아웃' 퇴출

  • 등록 2018.03.09 00:37:08
크게보기

자치구 승차거부 처분권 시로 환수한지 두 달 만에 50% 처분율 → 93%
- 삼진아웃된 운수종사자 60만원 과태료, 자격취소, 향후 1년 간 영업 정지
- 택시 민원 중 승차거부 약 30%… 철저한 처분과 강력한 삼진아웃제 시행

[서울/박기순기자] 서울시가 50% 내외에 그쳤던 택시 승차거부 단속에 대한 처분율을 지난 2개월 간 93%

지 끌어올렸다. 100% 처분을 목표로 승차거부를 근절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삼진아웃제에 따라 택시자격이

취소돼 퇴출된 첫 사례도 나왔다.

 

서울시 택시 삼진아웃제는 택시운송사업의 발전에 관한 법률에 따라 승차거부, 부당요금에 대한 단속에

서 위반행위별로 3차례 적발될 경우 자격정지 등의 처벌을 받는 제도다. '151월 도입됐다.

 

서울시는 승차거부 처분율을 끌어올리고 자치구 간 처분 편차를 줄이기 위해 자치구에 위임했던 승차거부

행정처분 권한을 작년 12월부로 환수했다. 지난 2개월 간 총 144(법인 96, 개인 48)의 승차거부를

적발했다. 조사가 진행 중인 49건을 제외한 95건 중 약 93%에 해당하는 88건은 처분이 완료됐다. 7건은 처분

대상에서 제외(승객호출대기 중 등)됐다.

 

행정정절차가 완료된 95건 중 1차 경고가 80, 2차 자격정지가 7, 3차 자격취소가 1건이다. 승객호출

로 대기 중이던 차량 등 7건은 처분에서 제외됐다.

 

택시 승차거부 처분은 시 교통지도과 단속요원을 통해 현장에서 적발된 단속건과 120다산콜센터로 접

수되는 신고건에 대해 이뤄진다. 서울시는 이중 현장단속을 통해 적발된 건을 처분하게 된다.(120다산

콜의 경우 자치구가 처분) 삼진아웃 사례의 경우 그동안 자치구가 처분권한을 가졌을 때 2건에 그쳤으

나 시가 처분권을 환수한 이후 두 달 만에 첫 사례가 나왔다.

 

'15~17년 택시 민원신고 및 단속 건수에 대한 처분율 (단위: )

구 분

현장 단속

120다산콜 신고

접수건수

처분건수

처분율(%)

접수건수

처분건수

처분율(%)

2017

1,334

664

49.7

6,909

836

12.1

2016

1,347

686

50.9

7,340

899

12.2

2015

1,695

743

43.8

7,760

747

9.6

- 처분율 : 과태료, 신분상 처분(경고자격정지취소)은 처분에 포함, 단 과태료가 병과되지 않은 경고처분 제외

 

이번에 퇴출된 택시운수종사자는 개인택시사업자로, 자치구에서 두 번 적발되고 세 번째 시에 적발돼 삼

진아웃 됐다. 시는 자격취소와 함께 과태료 60만 원을 부과했다. 택시운수종사자는 앞으로 1년 동안 택시 영

업을 할 수 없고 이후에도 면허를 다시 취득해야 영업재개가 가능하다.

 

앞서 두 번은 승객의 목적지를 듣고 승차를 거부했고 세 번째는 승객의 행선지와 가는 방향이 다르다

는 이유로 승차를 거부했다.

 

승객이 탑승 전 시흥사거리요라고 하자 택시운수종사자가 안간다1차 승차거부를 했다. 이후 택

시운수종사자가 먼저 승객에게 목적지를 물었으나 승객이 후암동을 간다고 하자 그냥 가버려 2차로

승차거부를 했다. 승객이 행선지를 말하자 가는 방향과 다르다며 3차 승차를 거부해 자격취소와 함께

과태료 60만원을 부과했다.

 

승차거부는 택시 민원 중 약 30%를 차지한다. 불친절 다음으로 많이 접수되는 민원이다.

연도별 택시 민원 유형별 신고건수 (단위: )

년도

신고유형

2013

2014

2015

2016

2017

(12월 말 기준)

전체민원

37,870

28,056

25,104

24,008

22,420

승차거부

14,718(38.8%)

9,477(33.7%)

7,760(30.9%)

7,340(30.5%)

6,909(30.8%)

불 친 절

10,748(28.3%)

8,760(31.2%)

8,638(34.4%)

8,364(34.8%)

7,565(33.7%)

 








한편, 서울시는 택시 조합과 함께 승차거부 근절 및 사전예방을 위해 승객을 골라 태우려고 허위로 빈차

표시를 끄거나 예약표시를 켜고 대기하는 등 날로 교묘해지는 잠재적 승차거부도 지속적으로 점검해 나간다

는 계획이다.

 

시는 1회 이상 승차 거부자를 중점관리 대상자로 분류하고, 개인 및 법인 택시 조합에 대상자 정보를

공유해 집중 교육한다.

 

또한 시는 택시표시등을 임의 작동할 수 없도록 택시조합에 통보하고 택시 표시등을 허위 점소등하는

차량에 대해 현장 단속하고 있다.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21조제11) 상 택시표시등(빈차표시등)

자동으로 점소등되도록 규정돼 있다.

양완수 서울시 택시물류과장은 자치구에 위임됐던 처분권한을 환수해 서울시가 신속하게 처분함으로써

승차거부를 반복하는 일부 택시운수종사들에 경각심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서울시는 상습적으로 불법

영업을 일삼는 승차거부 택시 운수종사자는 퇴출시킨다는 원칙 아래 강도 높은 관리 감독과 교육을 병행하

, 안전하고 편리한 택시 서비스를 정착시키겠다고 말했다.

박기순 기자 pksdo@hanmail.net
Copyright @2009 한국방송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서울 아 02188, 등록일 2009-07-17, 발행인:이헌양. 대 표:김명성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18길, Tel 02-420-3651
한국방송뉴스(주) © ikbn.news All rights reserved.
한국방송뉴스(주)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