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급상황, 소화기·완강기·자동심장충격기 사용은 이렇게!

  • 등록 2022.02.17 13:43:22
크게보기

행정안전부(장관 전해철)는 생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화기와 완강기, 자동심장충격기 등에 대한 사용법을 숙지하여 위급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사용법을 안내하였다.

해마다 화재연평균 42,332으로 2,215인명피해(사망 308, 부상 1,907)가 발생하며, 연간 급성심장정지 건수는 평균 29,834 정도로 줄지 않고 꾸준히 발생하고 있지만, 생존율증가 추세.

최근, 급성심장정지 환자 발생 시 구급대원이나 의료인이 아닌 일반인 심폐소생술 증가하고 있으며, 이 경우 생존율2.4(‘19 기준, 시행 15.0%, 미시행 6.2%) 이상 높아지고 있어 주변인도움 절실하다.

자동심장충격기 설치 대수는 매년 증가 추세이며, 재난 발생 시 황금 시간(골든타임, Golden time) 동안신속한 대응사고확산줄이고 소중한 생명구할 수 있어 평소 사용법 숙지 상당히 중요하다.

<화재 및 급성심장정지 발생과 생존율 현황>

<연도별 화재 현황>


<연도별 급성심장정지 및 생존율>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 및 자동심장충격기 설치 현황>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


<자동심장충격기 설치 현황>


 

예기치 않게 발생하는 각종 사고로부터 안전지킬 수 소화기, 완강기, 자동심장충격기 사용 

방법 다음과 같다.

 

이 난 것을 발견했을 때는 큰 소리로 소리치거나 비상종(, bell) 눌러 주위에 알리고, 119로 

신고한다.

 

이때, 화재 초기라면 주변의 소화기, 물에 젖은 담요 등활용하여 불을 끄고, 불길이 커져 진압

이 어려우면 신속히 대피하여야 한다.

 

<소화기 사용 방법>


1. 소화기를 불이 난 곳으로 옮긴 후 손잡이 부분의 안전핀뽑는다.

2. 바람을 등지고 서서 노즐(nozzle)을 잡고 불을 향하게 한다.

3. 소화기의 손잡이움켜쥔다.

4. 불이 난 곳을 빗자루로 쓸 듯이 분말골고루 뿌린다.

소화기는 불이 나면 대피할 것을 고려하여 문 가까운 곳에 비치한다.

 

화재 시 신속하게 대피하지 못하여 완강기를 사용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니 반드시 사용법을 

알아두도록 한다.

 

건물 안완강기 설치 위치를 알아두고, 설치 공간물건을 쌓아두거나 하여 가려지지 않도록 주

하여야 한다.


<완강기 사용 방법>


완강기 사용 전 완강기 통 안의 구성품* 확인하기

*구성품(5): 밧줄 얼레(로프), 속도조절기, 가슴 띠(벨트), 갈고리(후크)

1. 지지대를 흔들어 안전 유무 확인 후, 지지대 고리완강기 고리걸고 잠근다.

2. 지지대창밖으로 밀고 줄()던진다.

3. 완강기 띠(벨트)가슴 높이까지 걸고 조인다. 이때 팔을 들지 말고 겨드랑이 밑으로 꼭 

맞게 끼운다.

4. 다리부터 창밖으로 내밀어 바깥으로 나간 후 짚으며 안전하게 내려간다.

 

또한, 갑작스러운 급성심장정지 환자 발생 ,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심장충격기사용법도 

숙지하여야 한다.


자동심장충격기 전원 켜기

두 개의 패드(pad) 부착

심장 리듬 분석




심장 충격 실시

즉시 심폐소생술 재시행

자동심장충격기



(자동제세동기, AED)

환자의 피부에 부착된 전극을 통하여 전기충격을 심장에 보내 심방이나 심실의 세동을 제거하는 제세동기를 자동화하여 만든 의료기기

 

1. 심폐소생술 중에 자동심장충격기도착하면 전원 버튼을 눌러 바로 시행한다. 자동심장충

격기는 정상적인 호흡과 반응이 없는 심정지 환자에게만 사용

2. 오른쪽 쇄골 아래왼쪽 젖꼭지 아래중간 겨드랑이 선에 각각의 패드부착한다.

3. 자동심장충격기가 심장 리듬분석하는 동안에는 환자에게 닿지 않도록 한다. 심장 충격이 필요하

심장 충격이 필요합니다.” 라는 음성지시와 함께 자동 충전되고, 충전 중가슴압박 실시, 심장 분

석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심폐소생술지속한다.

4. 심장 충격이 필요한 경우에만 심장 충격 단추(버튼)이 깜빡이며, 깜빡이는 단추(버튼)눌러 

심장 충격을 실시한다.

주변 사람이 환자에게서 떨어져 있는지 확인하고 실시


5. 심장 충격 후에는 즉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고 구급대원도착할 때까지 반복한다.

코로나19 등으로 심정지 환자의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인공호흡은 시행하지 않고 가슴압박만 시행

하도록 권장(출처: 2020년 한국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참고로, 갑작스러운 심정지 환자발견하면 가까운 곳의 자동심장충격기 설치 위치확인하여 혹

시 모를 위급상황활용하도록 한다.

*생활안전지도 앱 또는 웹(www.safemap.go.kr)시설재난안전자동심장충격기

생활안전지도 자동심장충격기 설치 안내


 

본근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은화재, 심정지 사고 등은 초기 대응매우 중요하다. 평소 소화

완강기, 자동심장충격기사용숙지하여 위급상황에서 나와 가족의 소중한 생명지킬 

수 있도록 대비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김한규 기자 khk21art@ikbn.news
Copyright @2009 한국방송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서울 아 02188, 등록일 2009-07-17, 발행인:이헌양. 대 표:김명성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18길, Tel 02-420-3651
한국방송뉴스(주) © ikbn.news All rights reserved.
한국방송뉴스(주)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