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알림

우리동네 미래는? 116개 지역 ‘생활권계획’ 발표

‘116개 지역생활권’ 미래지도 발표

[서울/박기순기자]

‘116개 지역생활권’ 미래지도 발표
서울시가 ‘우리동네 미래발전 지도’에 해당하는 <2030 서울생활권계획>(이하 ‘생활권계획’)을 4년 만에 최종 완성, 3월 8일자로 공고하고 본격 가동한다.


서울시는 서울 전역을 5개 ‘권역’ 생활권으로 나누고, 각 권역을 116개 ‘지역’ 생활권(3~5개의 동 단위)으로 세분화해 총 493개 목표와 1,126개 실천전략을 수립했다. 각 지역의 자족성을 강화하고 지역 간 균형발전을 유도한다는 것이 골자다.


<2030 서울생활권계획>은 최상위 법정 도시계획인 <2030서울플랜>의 후속으로 마련됐다. <2030서울플랜>은 주거, 산업‧일자리, 교통, 복지, 교육과 같이 서울시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이슈들에 대한 발전구상을 생활권별로 담아낸 국내 최초의 생활밀착형 도시계획이다.


지난 4년여 간 전문가, 자치구 협의, 주민 워크숍‧설명회 등 폭넓은 의견 수렴과정을 거치고, 연인원 8,000여명의 지역주민이 직접 참여해 ‘아래에서부터 위로’ 수립했다.


5개 권역과 116개 지역에 대한 생활권계획은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발전방안을 7개 이슈 ①도시공간 ②산업‧일자리 ③주거정비 ④교통 ⑤환경‧안전 ⑥역사‧문화‧관광 ⑦복지‧교육로 제시했다.

5개 권역생활권과 116개 지역생활권

5개 권역생활권과 116개 지역생활권

지역생활권 예시

지역생활권 예시

생활서비스 시설, 시 평균보다 보급률 낮은 지역에 우선 설치
또한, 생활권계획에는 서울 전역을 조사‧분석해 어린이집, 주차장, 도서관, 공원 등 각 권역‧지역별로 설치가 필요한 생활서비스시설을 11개 분야로 제시했다.

■ 11개 분야 ‘생활서비스시설’
○ 권역생활권(4개 분야) : 문화시설, 장애인복지시설, 지역주민 복지시설, 보건소
○ 지역생활권(7개 분야) : 공원, 주차장, 도서관, 노인여가 복지시설, 청소년아동 복지시설, 보육시설, 공공체육시설

‘권역’생활권은 각 자치구별로 서울시 평균 보급률보다 낮은 시설, ‘지역’생활권은 3가지 조건(①지역주민이 필요하다고 요청하는 시설 ②보행 10분 거리, 반경 800m 이내에 없는 시설 ③서울시 평균보다 보급률이 낮은 시설)을 만족하는 시설을 우선 확충이 필요한 대상으로 선정했다.


‘2030 서울플랜’서 제시한 중심지 체계 완성… 상업지역 192만㎡ 확대 지정
아울러, 시는 이번 생활권계획을 통해 2014년 수립한 ‘2030 서울플랜’에서 정한 중심지 체계(3도심-7광역-12지역-53지구)를 최종 완성하고, 중심지별 육성‧관리방안을 수립했다.


특히, 2030년까지 중심지 내에 상업지역 총 192만㎡를 새롭게 지정해 지역불균형 해소와 지역 활력의 촉매제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시는 지역별 인구, 일자리, 상업지역 비율 등을 고려해 배분 물량의 70% 이상을 그동안 상대적으로 낙후‧소외됐던 동북권(59만㎡)과 서남권(40만㎡)에 배분했다. (서북권 18만㎡, 동남권 17만㎡)


실제 현장에 적용되도록 각종 도시관리계획 수립시 검토‧심의
서울시는 이번에 수립한 생활권계획의 방향과 내용이 향후 서울시의 모든 관련․하위 계획(법정‧행정‧도시관리)을 통해 실제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각종 도시관리계획(용도지역‧지구‧구역, 기반시설, 도시개발사업, 정비사업, 지구단위계획) 수립시 검토‧심의 과정을 거치고, 실행과정 중에도 생활권계획 반영 상황을 진단‧평가해 반영할 계획이다.


생활권계획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서울도시계획포털’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올 하반기 중에는 위치기반의 ‘생활권계획 홈페이지’를 오픈한다. 여기서는 시민 누구나 내가 사는 동네의 생활권계획을 지도에서 찾아보고 의견을 제시할 수도 있다.


권기욱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2030 서울생활권계획>은 4년 간 많은 지역주민의 관심과 참여로 만든 우리 동네의 ‘미래지도’ 이며, 주민들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고 예측이 가능한 도시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며 “서울 모든 지역의 발전구상을 빠짐없이 촘촘하게 담은 만큼 서울의 지역균형성장을 견인할 큰 버팀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7개 이슈별 발전방안
① 도시공간 : 권역‧지역의 기능과 역할 강화를 통한 지역 자족성 강화 방안을 담았다. 대표적으로, 상암‧수색(서북권)은 수색복합역사와 경의선 상부부지를 활용해 영상‧미디어‧R&D 기능을 확충해 디지털미디어 거점으로 육성하고, 청량리역(동북권)은 복합환승역사를 통해 교통‧상업 중심지로서 기능을 강화한다.

② 산업‧일자리 : 특성화된 산업을 발굴‧육성해 고용과 경제기반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담았다. 예컨대, 가산G밸리(서남권)는 4개 권역으로 나눠 도심형 산업, 패션‧디자인, 제조업 등을 기반으로 한 창조산업중심거점으로 육성한다. 신촌 일대(서북권)는 대학과 연계해 청년창업 거점으로, 상일동 일대(동남권)는 첨단 업무단지와 엔지니어링 복합단지 규모를 확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③ 주거정비 : 주거지 현황과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비‧보전‧관리방안을 담았다. 예컨대, 상계‧월계(동북권)는 노후화된 택지개발지구의 정비방안을 마련하고 지구단위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지구에 대한 관리방안 마련으로 체계적 정비에 나선다. 불광동‧홍은동‧성산동 등 일대(서북권)는 1인가구, 어르신 등 맞춤형 공유주택 도입을 유도한다.

④ 교통 : 각 생활권별로 보행환경 개선과 보행공간 확보, 자전거도로 및 이용시설 확충, 주요 간선도로 확충 계획을 담았다.

⑤ 환경‧안전 : 자연환경 보전, 공원‧녹지 확대, 방재대책 방안을 담았다. 대표적으로 동북권의 경우 아차산~용마산~망우산을 연결하는 서울둘레길을 정비하고 한강~중랑천~청계천으로 이어지는 수변축을 연결해 ‘산-하천 녹색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⑥ 역사‧문화‧관광 : 역사‧문화자원의 보전‧활용방안과 관광 활성화 방안을 담았다. 에컨대, 도심권은 한양역사도심을 활용해 도보관광을 활성화하고 동남권은 풍납토성~암사동 유적~아차산성을 연계한 역사문화 탐방로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⑦ 복지‧교육 : 각 지역별로 필요한 복지‧교육시설에 대한 공급 방안을 담았다. 1~2인 가구 비율이 높은 혜화동‧장충동(도심권)의 경우 문화‧체육시설을 확충한다.

문의 : 생활권계획추진반 02-2133-8243 서울도시계획포털 홈페이지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