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08 (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피플

부산시민 생활 만족도 73.7% "부산서 계속 살고 싶다"

2020 부산사회조사 - 만15세 이상 3만3천 명 대상 조사 결과

[부산/문종덕기자] 코로나19 위기 속에서도 부산시민의 생활 만족도가 올라가고, 시민의 73.7%는 부산에서 계속 살기를 희망했다. 부산광역시는 지난해 8~9월 지역 내 만15세 이상 가구원 3만3천 명을 대상으로 '2020 부산사회조사'를 실시했다. '부산사회조사'는 시민 생활과 시민 의식의 실태와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1996년부터 매년 시행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사회통합, 안전, 건강, 환경, 가족 등에서 진행됐다. 


0001
▲ 2020년 부산사회조사 결과 (출처: 부산광역시 통계빅데이터담당관) 


■ 부산시민 생활 만족감 향상 두드러져

사회통합 '부산시민이라는 점이 자랑스럽다'라고 응답한 사람은 45.7%, '자랑스럽지 않다'고 답한 비율은 6.6%에 그쳤다. '자랑스럽다'고 느낀 사람은 2019년보다 6.9%p 증가했고, '자랑스럽지 않은' 사람은 2.0%p 감소해 자부심을 느끼는 시민이 늘었다. 부산에 계속 살고 싶은지에 대해서는 '그렇다' 73.7%, '그렇지 않다' 7.4%로, 2019년 조사보다 긍정적 응답이 증가했다. 부산시민으로서의 정체성에 대해서는 '소속감이 있다'(62.6%)가 '없다'(37.4%)보다 배 가까이 많았다. '자신의 삶에 대한 전반적 만족감'은 10점 만점에 5.8점으로 2019년 대비 0.2점 증가했다.


■ 부산 '안전하다' 응답 크게 늘어

안전 코로나19로 힘든 한 해였지만, 안전에 대한 시민 인식은 오히려 높아졌다. '전반적인 사회안전'에 대한 인식은 '안전하다'는 응답이 37.4%로 직전 조사(19.9%)보다 크게 늘었다. 재난·재해 발생 시 신속한 대처(안전 안내 문자 등), 코로나19 적극 대응(드라이브스루 도입 등)과 우리나라의 높은 의료수준이 시민들의 안전 인식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시민의 50.3%가 '신종전염병'에 대해 '불안하다'고 답했다. 이는 2018년과 비교해서 9.0%p 증가한 수치다.


■ 부산 의료서비스 수준 만족 70.1% 

건강 만15세 이상 부산시민 10명 중 8명이 '지난 1년간 몸이 아파 의료기관을 이용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의료기관 이용자 중 57.4%가 '외래 중심 의원'을, 23.6%는 '병원'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선택 사유로는 '집, 직장과 가까워서'라는 응답 비율이 68.7%로 가장 높았다. 의료기관 서비스 만족도에서 70.1%가 '만족'한 것에 비해 '불만족'은 2.4%로 나타났다. 이는 2018년과 비교해 만족 응답은 6.7%p 증가했고, 불만족 응답은 0.2%p 감소해 부산의 의료서비스 수준이 한 단계 더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 자동차 소음 등 체감 환경 '나쁘다' 

환경 체감 환경에 대해서는 부정적 의견이 많았다. 소음·진동 부문에서 '좋다'는 비율(24.3%)보다 '나쁘다' 비율(33.5%)이 9.2%p 더 높게 나타났다. 자동차 매연과 소음, 아파트 재개발 등에 따른 건설소음 등이 원인으로 보인다. 


■ '독신·무자녀 부부·1인 가구' 꾸준히 증가

가족 시민들이 가장 선호하는 가족 형태는 '유자녀 부부'가 52.6%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비율은 감소했다. '독신'(13.2%), '무자녀 부부'(8.7%) 비율은 꾸준히 증가했다. 1인 가구의 증가로 가족과의 식사, 보살피기 등 가족과 함께 하는 시간은 전체적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지역 출산율 증가 방안으로 '여성 근무 여건 개선'(20.1%)이 가장 높고, '보육료 지원'(18.4%), '가구소득 증대'(13.2%), '출산에 대한 개인의식 변화'(11.8%)를 꼽았다.




종합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