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은 ‘사이버범죄 예방의 날*(4월 2일)’을 맞이하여, 사이버사기 · 사이버금융범죄 · 사이버성폭력범죄 · 사이버도박 등 여러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민적 경각심을 높이고 예방 수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다양한 온오프라인 홍보 활동을 전개한다.
* 사이버범죄 예방에 관심을 두고 그 중요성과 실천 방법에 대해 생각해 보는 기회를 가지자는 취지로
사이버(Cyber)의 (4)와 이(2)를 따서 2015년부터 매년 4월 2일로 선정
4월 2일부터 한 달간 네이버, 중고나라, 넷마블, 넥슨, 경찰청 누리집(홈페이지) 등에 사이버범죄 예방의 날 관련 띠 광고 · 공지 사항을 게시하고, 이를 통해 국민이 사이버범죄 예방 수칙을 쉽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서울역 인근 대형 전광판, 서울 서대문역 사거리 전광판 및 버스정류장 등에는 사이버범죄 예방 수칙 홍보영상 및 카드뉴스를 게시함으로써, 가능한 많은 국민이 사이버범죄 예방 수칙을 접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각 시도경찰청에서도 자체적으로 사이버범죄 예방과 관련된 홍보 활동을 진행한다.
이와 더불어, 사이버범죄 예방에 관심을 가진 국민으로 구성된 ‘누리캅스’* 와 협업하여 온라인상 불법 유해 정보를 근절하고, 현직 경찰관으로 구성된 사이버범죄 예방 강사들이 학교 · 기업에 방문하여 실시하는 ‘사이버범죄 예방 교육 활동’도 활발히 전개함으로써 국민이 사이버범죄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 누리꾼의 ‘누리’와 ‘Cops’의 합성어로 사이버 명예경찰로 활동하며 불법 · 유해 정보 신고 및 삭제·차단 심의요청(2024년 기준 769명, 2025년 누리캅스 선발 중)
경찰은 사이버범죄를 근절하기 위해 사이버수사 역량을 총동원하여 사이버사기 · 사이버금융범죄 · 사이버성폭력범죄 · 사이버도박에 대한 집중단속을 진행 중이다. 아울러, 관계기관과 협업하여 성착취물 · 불법성영상물을 삭제 · 차단 요청하는 등 피해자 보호 활동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중이다.
<사이버범죄 집중단속 현황 및 중점추진 사항> ▸ (사이버사기 집중단속’25. 3. 24. ∼ 10. 31.) 민생침해형 사이버사기 행위 중점 단속 ▸ (사이버금융범죄 집중단속’25. 3. 1. ∼ 10. 31.) 시도청 전문 수사 인력 중심으로 문자결제사기(스미싱) ·사이트금융사기(파밍)에 대한 단속 전개, 단순 가담자뿐 아니라 총책까지 추적·검거 ▸ (사이버성폭력범죄 집중단속’25. 3. 1. ∼ 10. 31.) ‘공급과 수요 동시 차단’을 목표로 성착취물 및 불법성영상물 관련 ▵유포 ▵유통망 제작·운영 ▵구매 등 집중 단속 ▸ (사이버도박 집중단속’24. 11. 1. ∼ ’25. 10. 31.) 운영자·모집책·광고책 등 연계조직까지 추적·검거 |
경찰청 관계자는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범죄가 점차 고도화 · 조직화 되고 있다.”라며, 피해 예방을 위해 사이버범죄 예방 수칙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특히, 스마트폰 등 정보기술 기기가 널리 보급되면서 사이버범죄 발생 건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사실을 지적하며, “수상한 인터넷 주소는 누르지 말고, 인터넷 계정 비밀번호는 주기적으로 바꿔야 하며, 백신 프로그램은 갱신을 해서 사용해야 한다. 홈캠 등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기본 설정된 비밀번호를 변경하여 보안을 강화해야 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