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산불 방지 및 진화 총력 대응

  • 등록 2025.03.31 23:26:02
크게보기

- 25일부터 도-시군 비상근무 체제 전환…전직원 4분의 1 소각행위 등 계도 및 단속 활동 -
- 산불 감시 및 진화 장비·인력 총동원…경북 등 타 지역에도 헬기 및 구호물품 등 지원 -

[충남/오창환기자] 충남도는 경남 산청군을 시작으로 산불이 전국으로 확산됨에 따라 도-시군 비상근무 체제 전환 등 산불 방지 및 진화에 총력 대응하고 있다고 31일 밝혔다.

 

신동헌 도 자치안전실장은 이날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범국가적 위기상황에 있는 만큼 산불이 발생하지 않도록 생활 주변을 두 번, 세 번 살펴서 재난으로 고통받는 도민이 없도록 할 것이라며 영남지역 산불 진화 장비 및 구호물품 지원에도 각별히 신경 쓰고 있다고 강조했다.

 

도는 경남 산청군 산불 발생 하루 전인 지난 20일부터 산불대응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운영하고 있으며, 홍성·논산·천안·보령·서산에 임차헬기 5대를 운용하고 있다.

 

임차헬기 운용에 따라 계도 비행을 통해 산불 발생 직후 즉각 현장 출동이 가능해졌고, 이는 1월부터 3월까지 5건 이상의 산불을 사전 차단하는 성과로 이어졌다.

 

이와 함께 야간 산불 신속대응반’ 1798명을 편성해 체계적인 대응을 펼친 결과, 14일 천안시, 219일 천안시, 314일 서천군, 316일 공주시에서 발생한 4건의 산불을 초기 단계에서 진화했다.

 

25일부터는 산림청이 오후 4시부로 산불재난 위기경보 심각단계를 발령함에 따라 비상근무 체제로 전환했으며, 같은 날 오후 430분에는 박정주 행정부지사 주재로 도-시군 긴급점검 회의를 열어 산불 방지 및 대응태세를 확립했다.

 

현재 도와 시군은 전직원의 4분의 1을 편성해 논·밭두렁 및 영농부산물, 생활쓰레기 소각행위 등에 대한 계도 및 단속을 펼치고 있다.

 

도내 산불대응장비 가용 현황은 진화헬기 24지휘차 25진화차량 205등짐펌프 9211개 등을 보유하고 있다.

 

감시·진화 인력으로는 예방진화대 986감시원 619·통장 5924명을 동원하고 있으며, 주민대피시설은 1710곳을 마련했다.

 

영남지역 산불피해 지원에도 행정력을 집중해 왔다.

 

지난 24일 경북도에 임차헬기 1대를 지원했으며, 28일에는 경남에 헬기 3대를 지원했다.

 

이 뿐만 아니라 28일 경북에 에어텐트와 음식 등 이재민 구호물품을 전달했고, 도 소방본부도 22일부터 경북·경남에 차량 및 물탱크 등 290여 대의 장비를 지원한 바 있다.

 

최근에는 재해구호기금 35000만원을 마련, 대한적십자사를 통해 경북·경남·울산에 전할 예정이다.

 

현재 진화 헬기와 소방 인력장비는 모두 복귀해 우리 도 산불 진화에 대비하고 있다.

 

신동헌 실장은 봄철은 건조한 날씨와 강풍의 영향으로 영남지역 사례처럼 작은 불씨가 대형 산불로 확산될 위험이 높다도민분들도 입산자 화기 소지 금지 등 안내에 따라 각별히 주의해 주시길 부탁드린다고 재차 강조했다.

 

한편, 최근 3년간 도내에서 발생한 대형산불은 202249일 서산시, 202342일 홍성군, 202342일 금산군 3건이다.

 

서산시 산불은 쓰레기 소각이 원인이었으며, 피해규모는 산림 158.11ha, 77억원, 담뱃불 실화가 원인인 홍성군 산불은 산림 1337ha, 899억원, 입산자 실화로 발생한 금산군 산불은 산림 889.36ha, 428억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올해는 330일 기준 총 26, 피해면적은 8.3ha이며 원인은 영농부산물쓰레기 소각 6, 재 처리 부주의 4, 입산자 실화 2, 담뱃불 2, 용접기 불티 2, 조사 중 6, 기타 4(건축물 실화, 방화, 전기 합선, 기계톱 불꽃) 등으로 조사됐다.

오창환 기자 ckdghks182@naver.com
Copyright @2009 한국방송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서울 아 02188, 등록일 2009-07-17, 발행인:이헌양. 대 표:김명성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18길, Tel 02-420-3651
한국방송뉴스(주) © ikbn.news All rights reserved.
한국방송뉴스(주)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